스포츠조선

[베이징올림픽] 中 쇼트트랙, 또 다시 공식훈련 펑크. 5차례 훈련 중 4차례 잠적

류동혁 기자

기사입력 2022-02-02 12:10


1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경기장. 중국 쇼트트랙 선수들이 훈련하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1/

1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경기장. 중국 쇼트트랙 선수들이 김선태 감독과 안현수 코치와 함께 훈련하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1/

1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경기장. 중국 쇼트트랙 선수들이 김선태 감독과 안현수 코치와 함께 훈련하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1/

[베이징(중국)=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이번에도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 쇼트트랙 결전의 장소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

2일 공식 훈련 스케줄은 중국이 오전 8시(이하 현지시각), 한국이 오전 9시였다.

그런데, 이번에도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4차례 공식 훈련을 불참했다. 지난달 31일 훈련에 나오지 않았다. 1일 오전도 마찬가지.

3차례 연속 공식 훈련시간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중국 대표팀은 이날 오후 6시(한국시각) 공식 훈련에서 몸을 풀었다.

정보 누출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다. 베이징 믹스드 존에서 만난 중국 취재진들도 "우리도 중국 대표팀이 무엇을 하고 있는 지 궁금하다. 한 달 동안 공식 취재를 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번 대회에서 중국 쇼트트랙은 한국의 아성을 넘어설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대대적 투자를 감행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한국 대표팀 지휘봉을 잡았던 김선태 감독은 중국 사령탑으로 데려왔고, 러시아로 귀화했던 안현수(빅토르 안)까지 기술 코치로 영입, 한국에 대한 분석에 사활을 걸고 있다.

좁은 트랙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하는 쇼트트랙의 특성 상, 작전과 전략 등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중국 쇼트트랙은 이 부분에서 극도로 '폐쇄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은 빙질이다. 중국 대표팀은 결전 장소 캐피털 실내 경기장의 적응 훈련은 이미 마친 상태. 하지만, 빙질의 상태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공식 훈련이 꼭 필요한 이유.

이 마저도 거르면서 중국 대표팀은 공식 훈련 5차례 중 4차례를 걸렀다. 한국 대표팀 선수들은 "매일 매일 빙질이 달라진다. 매 대회마다 겪는 부분이지만, 빙질 적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중국 대표팀은 이런 과정이 필요없는 걸까. 빙질에 또 다른 '트랩'을 숨겨논 걸까. 궁금하다. 베이징(중국)=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