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2022 장애인생활체육 참여율 26.6%...코로나전보다 1.7%↑[문체부 발표]

기사입력 2023-01-16 10:13


경기도 하남 디딤터 재활운동센터에서 장애인 1호 체육학 박사인 이용로 센터장이 김종준 국민체육진흥공단 전문위원에게 1대1 PT 강습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장애인체육회

출처=문화체육관광부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26.6%."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대한장애인체육회가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만 10~69세 등록 장애인 1만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부터 2022년 8월을 기준으로 시행한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 조사 결과,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보다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하는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 비율로,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2021년도 연달아 감소했으나 2022년에는 26.6%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24.9% 대비 1.7%포인트 증가했다. 10년 전인 2012년(10.6%)에 비해선 약 2.5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남성 참여율(27.4%)이 여성(25.1%)보다 2.3%포인트 높으며, 연령대별로는 60대(28.1%)가 가장 높고 10대(18.1%)가 가장 낮았다.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 공원'이 45.7%로 가장 많았다. 체육시설 이용률은 16.7%로,체육시설 이용률이 여전히 낮은 이유는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28.6%), '시간이 부족해서'(14.2%),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12.9%) 순으로 파악됐다. 장애정도별로 보면 '중증'은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44.5%), '경증'은 '시간이 부족해서'(20.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주요 이용시설은 '민간 체육시설'이 4.7%로 가장 많았고 '공공 체육시설-통합 시설'(4.6%), '장애인 복지시설'(3.1%) 순으로 조사됐다.

생활권 주변 이용하고 싶은 구체적 체육시설로 '수영장 포함 종합센터'가 37.8%로 가장 높았고, '실내체육관'(23.4%), '헬스 시설장'(19.5%) 등의 순이었다. 장벽 없는 '배리어프리(barrier-free)' 체육시설에 대한 기대도 컸다.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시설로는 '다니기 쉽게 만들어진 복도 및 통로'(23.3%) '장애인용 운동 용품, 기구 및 장비'(17.7%), '들어가고 나가기 쉬운 체육관 출입구'(13.6%)라고 답했다. 장애인이 생활권 주변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이유는 '거리가 가까워서'가 43.8%로 가장 높았고, '시설 이용료가 무료 또는 저렴해서' (21.2%), '전문적인 체육시설이 있어서'(13.8%) 등의 순으로 답했다.

운동 경험자들에게 운동시 가장 필요한 사항은 '비용 지원'이 33.6%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17.2%), '체육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15.2%), '장애인용 운동용품 및 장비'(14.4%)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서울 용산 디아필라테스 이디다 원장이 1대1 필라테스를 가르치는 모습.  사진제공=대한장애인체육회

서울 강북구 번동에 위치한 뉴힐링라이프재활운동센터 강북점의 재활 프로그램을 이용 중인 한석진 회원이 김형준 팀장의 지도를 받아 운동을 하고 있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
장애유형별 장애인 생활체육 실행 유형을 살펴보면 '청각-언어장애'의 '완전 실행자' 비율이 32.7%로 가장 높았고, '시각장애' (30.4%), '지체장애'(29.5%), '기타장애'(24.3%), '발달장애'(20.3%), '뇌병변장애'(15.0%) 순이었다.


최근 1년간 운동 실시 여부를 물어본 결과, 운동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51.2%, 운동한 적이 없다는 응답은 48.8%였다. 남성(52.2%)이 여성(49.3%)보다 운동 경험이 많았고, 연령별로는 30대(54.7%)의 운동경험이 가장 많고 10대(44.0%) 청소년의 운동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운동을 하지 않은 이유는 '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21.9%로 가장 많았고 '몸이 안좋아서'(16.8%), '운동을 할 시간이 부족해서'(11.8%), '운동을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11.4%) 순으로 조사됐다. 10대는 '운동을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16.9%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동기는 '자발적으로 필요하다고 느껴서'라는 응답이 61.4%로 가장 많았고, '가족, 친구 및 지인 권유'(27.4%),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9.3%), '인터넷'(1.0%) 순으로 조사됐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장애인의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자와 지원 기간, 지원금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문체부는 '장애인 프렌들리' 부처로서 장애인이 일상에서 체육활동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더욱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전했다.

새해 문체부와 대한장애인체육회는 '모두의 스포츠'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전국 각지에서 1년 내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장애인들의 스포츠 접근성 제고를 위해 생활밀착형 체육시설(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지원(신규건립지 14개소 목표) 체육시설 접근성 낙후지역 대상 '장애인 스포츠버스' 운영(62개소) 학교체육시설의 장애인 이용 개방 지원(13개소)을 시행한다.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은 월 지원금을 지난해 8만5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인상하고 지원 기간도 10개월에서 12개월도 연장하며, 수혜자도 기존 1만명에서 1만4000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 전국 17개 시도 장애인체육회에 재가·중증·고령층 장애인 등 맞춤형 생활체육 지도를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1000명을 배치하고, 장애인체력인증센터 2개소를 신규로 오픈해 체력 측정 및 맞춤형 운동을 지원한다. 또 장애인들이 날씨, 공간의 제약 없이 마음껏 스포츠를 체험할 수 있는 '장애인체육 가상현실 체험관 조성' 3개소도 건립할 계획이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