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대학교 종합체육관 대문 위에는 '교육의 근간 체육(體育) 덕육(德育) 지육(智育)'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처럼 체육과 교육은 본질이 같다. 서울대는 2일 이곳에서 열린 '2024년 서울림운동회'를 적극 지원하며 체육 속에서 교육의 가치를 극대화했다. 특히 이용호 서울대 체육교육학과장이 이끄는 특수체육연구실은 진로상담과 장애인스포츠 체험부스를 운영해 학생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운동회가 단지 즐거운 신체활동에 그치지 않고 입시를 앞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철민씨는 장애학생들의 경우 진로가 꽤 빠르게 결정된다는 점에 놀랐다. 그는 "제빵이나 바리스타 등 복지관에서 뭘 배우고 어떤 자격증을 이미 땄다고 말하는 친구들이 많더라. 장애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잘 돼있다고 느꼈다"고 감탄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들이 학업의 기회도 충분히 누릴 제도들이 많다고 소개했다. 그는 "대학에서도 최근에 기회균등 전형이 매우 많아지는 추세다. 공부해서 1등을 하란 말이 아니다. 천천히 하다 보면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 이런 전형을 몰라서 지원을 못하는 사례가 꽤 된다. 그런 것들을 알려주고 싶었다"고 돌아봤다.
옆 부스에서는 펜싱과 스내그골프를 맛볼 수 있었다. 누구나 가능하도록 동작은 간소화한 대신 순간적인 집중력을 요구하는 조건이 추가됐다. 기자도 직접 체험했다. 흉내내기는 쉬웠지만 능숙하게 해내기는 은근히 난도가 높았다. 펜싱은 움직이는 풍선 같은 공을 정확히 찌르면 소리가 났다. 목표물을 건드린 이는 많았지만 딱 찍은 검객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스내그골프는 퍼터가 가볍고 공이 컸다. 덕분에 빗맞는 법이 없었으나 정확도가 떨어져 조준이 어려웠다. 장애학생이나 비장애학생이나 수행능력이 비슷했다, 서초고 1학년 박수연양은 "평소에도 펜싱을 해보고 싶었는데 재밌었다. 맞추려는 욕심이 생겼다. 쉬울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어려웠다. 서울림 종목들도 난이도가 일반 종목보다는 낮은 편이라서 지루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엄청 재밌었다"고 즐거워했다.
|
|
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