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종서 기자] "생활체육 및 학교체육의 불균형과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해 전문체육 선수 수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디비전리그는 전국12개 지역에서 모두 432개 팀이 참가하며 1, 2 ROUND 리그전을 통해 경쟁의 질을 높이고 참가자들의 실력을 키울 기회를 제공한다. 참가 팀은 초, 중, 고등부 학교스포츠클럽 그리고 유소년 배구클럽까지 폭넓게 구성되어 다양한 수준의 선수가 경기를 펼친다.
협회는 "디비전리그는 생활체육에서 출발해 점차 전문체육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교 스포츠클럽, 방과 후 프로그램, 사설 배구클럽 등이 참여해 생활체육 유소년 선수들이 안정적으로 배구를 경험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배구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스포츠 저변을 확대하려는 목표를 실현해 나간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비전리그 출범을 맞아 오한남 대한배구협회 회장은 "2022년부터 협회는 전문체육, 생활체육 및 학교체육의 불균형과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해 전문체육 선수 수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라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배구 디비전 사업을 준비해 오던 중 문화체육관광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로 올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는 9개 리그와 대전, 부산 그리고 광주에 각 1개 리그를 개최하게 됐다"라고 배경을 밝혔다.
이어 오 회장은 "배구 디비전리그가 성공적으로 출발할 수 있도록 많은 협조를 해주신 서울, 경기, 인천, 대전, 부산 및 광주 배구협회장과 임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2025년 디비전리그는 12개 세부 지역에서 시작되며 각 리그는 2라운드 예선과 4강전 및 결승으로 진행된다. 향후 리그 구조를 확장하고 세부 지역을 더 세분화해 전국 단위 리그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각종 문화 행사와 연계한 챔피언십 대회와 페스티벌을 통해 단순한 스포츠 대회를 넘어 문화적인 의미를 더하는 디비전리그를 만들어 갈 예정이다.
디비전리그는 학교 개방 프로젝트와 연계해 학교와 지역 배구클럽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연령대의 선수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거점형 스포츠클럽을 창단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배구라는 스포츠가 한국 사회의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 포지셔닝 하는 데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협회는 "디비전리그 출범은 단순히 배구 대회의 시작이 아니라 배구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시도로 평가된다. 생활체육에서 시작해 전문체육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배구가 한국의 주요 스포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종서 기자 bellstop@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