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C는 10연승이다. 만원 관중이 들어오면 무조건 이긴다. 2013년 6월15일부터 시작된 좋은 기록이다.
즉, 2013년 세 차례, 2014년 두 차례 만원 사례를 이뤘다. 고무적인 것은 올해 벌써 5차례나 관중이 꽉 들어찼다는 점이다.
하지만 여기에 아픈 진실이 숨어있다. 여전히 평균 관중 동원은 10개 구단 중 최하위다. NC는 야구단 출범 이후 위기를 맞기도 했다. 새로 짓게 될 창원의 새로운 야구장 입지를 놓고 갈등이 있었다. 애초의 약속과 다른 진해에 건립을 추진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지난 3월 마산종합운동장 부지로 다시 변경됐다. 정치적인 논리 때문이다. 결국 NC는 갈등 끝에 마산야구장을 계속 홈 구장으로 쓰게 됐다. 1만1000석의 아담한 규모다.
하지만 당초 2017년 새로운 홈 구장을 약속했던 부분은 이같은 과정 속에서 완전히 백지화됐다. 아직 새로운 야구장 건립은 청사진만 있는 상태다.
NC의 평균 관중수는 좀 민망하다. 25일 현재 10개 구단 평균 관중수는 1만246명이다.
1위는 LG가 1만5479명, 2위가 두산(1만5381명)이다. 그 뒤를 롯데(1만1316명) SK(1만1080명) KIA(1만366명)이 잇고 있다. NC는 최하위다. 6994명에 불과하다. 그럴 수도 있다. 아직 창원에 정착한 지 얼마되지 않았다는 점, 관중수용규모 숫자가 적다는 점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막내구단 kt보다 평균 관중수(8629명)보다 작은 최하위라는 점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NC는 1군 진입 3년 만에 선두권 경쟁을 펼칠 정도로 뛰어난 경기력과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만원관중이 들어찼을 때 10연승을 달리며 홈 팬에게 승리의 기쁨도 아낌없이 주고 있다.
하지만 평균 관중수는 최하위다. 막내구단 kt에게도 뒤진다. 선수들의 경기력을 탓할 순 없는 문제다. 연고지 창원이나 NC 구단이 많은 생각을 해 볼 문제다. 창원=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