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 효과' 한화 캠프가 뜨거워진다
최근 수 년간 프로야구 신인 선수들이 입단 첫 해부터 활약하는 경우가 드물다. 예전에는 입단 첫 해부터 주전 자리를 꿰찬 신인들이 종종 나왔지만, 요즘에는 그런 케이스를 찾아보기 힘들다. 신인왕도 2007년 두산 베어스 투수 임태훈을 마지막으로 전부 중고 신인들이 휩쓸고 있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기량차는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
일본 고치에서 한화 이글스 스프링캠프를 지휘하는 김성근 감독도 그런 면에서 꽤 흡족한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캠프에 데려온 신인 선수들이 강렬한 투지를 앞세워 가능성을 뿜어내고 있기 때문. 기대만큼 우려도 컸지만, 이제는 이 어린 선수들이 하루하루 성장하는 것을 보는 게 즐겁다.
|
사실 김 감독은 한화에 부임한 뒤 선수들의 느린 주력에 크게 아쉬워했었다. 공격적인 주루 플레이에 기반한 '김성근 스타일'의 야구를 제대로 풀어내기 어려울 정도였다. 그래서 지난해 송주호를 많이 활용한 것도 '스피드'하나를 보고서였다. 그런데 신인 선수들 중에서 스피드를 갖춘 야수진이 많아지면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된 것이다. 이들은 신인답게 강훈련을 묵묵히 수행하며 김성근 스타일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
김재영은 김 감독이 좋아하는 스타일을 모두 갖추고 있다. 사이드암스로형 투수인데 볼스피드도 빠르다. 게다가 포크볼과 커브 등 '떨어지는 변화구'까지 지녔다. '사이드암' '종 변화구' '볼 스피드' 등 세 가지 항목에서 김 감독의 낙점을 받았다. 김 감독은 "결국 남과 다른 자신만의 특징이 있어야 프로 무대에서 제 위치를 지켜낼 수 있다. 우리 팀 투수들 중에는 제대로 떨어지는 변화구를 던지는 선수가 드물었는데, 김재영이 꽤 기대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게 신인 선수들이 김 감독의 관심을 받으면서 덩달아 기존 선수들의 분발을 이끌어내는 효과도 생기고 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