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프리미어12]한국야구 올림픽 도전사, 그리고 도쿄올림픽의 의미

노재형 기자

기사입력 2019-11-15 23:07


'2019 WBSC 프리미어12' 슈퍼라운드 3차전 대한민국과 멕시코의 경기가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렸다. 경기에서 7대3으로 승리한 대한민국 선수들이 승리의 기쁨을 나누고 있다. 도쿄(일본)=박재만 기자 pjm@sportschosun.com/2019.11.15/

[스포츠조선 노재형 기자] 야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것은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부터다.

그러나 한국 야구가 올림픽 무대에서 처음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것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이었다. 앞서 바르셀로나올림픽 본선에는 나가지 못했고,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에서는 1승6패를 기록하며 8개 참가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아마추어 선수들로 대표팀을 구성했기 때문에 쿠바, 일본, 미국 등 소위 야구 선진국과는 전력차가 컸다.

하지만 프로 선수의 국제대회 참가가 허용된 뒤 한국 야구는 첫 '드림팀'으로 불리는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 대표팀이 금메달을 따내면서 세계 무대를 향해 기지개를 켰다. 그리고 2년 뒤인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야구 올림픽 첫 메달의 쾌거를 이뤄냈다. 당시 한국은 예선 리그에서 1승3패로 몰렸다가 네덜란드, 일본, 남아공을 잇달아 격파하며 4강에 올라 준결승에서 미국에 패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을 3대1로 꺾고 시상대에 섰다. 이승엽이 8회 일본 에이스 마쓰자카 다이스케를 2타점 2루타로 두들긴 명장면이 연출된 경기였다.

그러나 한국은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아시아 예선을 겸해 열린 2003년 삿포로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대만과 일본에 패해 1승2패로 3위에 머물면서 본선행 티켓에 실패했다. '삿포로 참사'로 불린 대회다.

한국야구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역사상 가장 빛나는 드라마를 써내려가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올림픽 9전 전승 금메달은 1992년과 1996년 각각 쿠바가 달성한 이후 역대 3번째였다. 그해 3월 베이징올림픽 최종예선을 6승1패로 통과해 본선에 나간 한국은 예선리그 7연승을 달리며 준결승에 올라 일본을 6대2로 꺾었고, 결승에서는 쿠바를 3대2로 눌렀다. 이승엽이 만든 대회였다. 이승엽은 당시 22타수 3안타로 극도의 부진을 보이다 준결승에서 2-2 동점이던 8회 일본 최강 마무리 이와세 히토키로부터 우월 투런홈런을 터뜨린데 이어 결승에서는 선제 투런홈런을 뽑아내며 당시 김경문 감독의 믿음에 멋지게 보답했다.

하지만 2012년 런던올림픽부터 야구가 정식종목에서 제외되는 바람에 한국 야구는 국제 무대를 누빌 기회를 제대로 갖지 못했다. 더구나 한국 야구는 2013년과 2017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잇달아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으며 올림픽 챔피언의 체면을 구겼다.

김인식 감독이 이끈 대표팀이 2015년 초대 프리미어12 우승을 차지한 한국은 내년 도쿄올림픽에서 다시 세계로 비상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김경문 감독이 12년 만에 올림픽 무대에 나서는 것이다. 야구는 2024년 파리올림픽에서 다시 정식종목에서 빠진다. 내년 도쿄올림픽이 어쩌면 향후 10년 간 한국 야구가 빛을 낼 수 있는 마지막 무대가 될 지도 모른다. 3차례 올림픽에 출전해 8위, 동메달, 금메달의 성적을 낸 한국 야구가 도쿄에서는 어떤 스토리를 써나갈 지 벌써부터 기대가 모아진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