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FA 보상선수들의 2루 경쟁. 과연 성공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두산 베어스의 내야 구도가 바뀐다. 가장 이목을 끄는 대목은 1루와 2루의 새 주인공이다. 오재일과 최주환이 맡았던 포지션이자, 두 사람이 이적하면서 빈 자리가 생긴 곳이다. 또다른 2루수 오재원도 올해 활용폭이 더 넓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2루가 아닌 1루수로도 나설 수 있다. 만약 오재원이 1루에서 많은 경기를 뛴다면, 2루수 경쟁은 새 얼굴들을 중심으로 재편된다.
함께 경쟁하는 신인급 선수들보다 경력은 확실하다. 박계범은 2019년부터 삼성 1군에서 조금씩 두각을 드러냈고, 지난해 80경기를 뛰었다. 내야 멀티 포지션을 소화하면서 수비력만큼은 안정적이라는 평을 받았다. 강승호 역시 2017년 LG에서 85경기, 2018년 SK 이적후 69경기를 뛰었다.
이들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타격이 필요하다. 물론 내야수에게 안정적인 수비가 가장 중요하지만, 수비력만으로 경쟁자들을 제치기는 쉽지 않다. 안정적인 수비는 기본이고, 타격에서도 상대적으로 값어치를 보여줘야 한다. 최주환, 오재일이 중심 타선을 맡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더욱 타격 능력이 필요하다.
박계범과 강승호는 현재 이천 1군 캠프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성실하게 훈련 일정을 소화하며 팀 분위기에 적응해가고 있다. 김태형 감독도 이들을 유심히 지켜보는 중이다. 다만 베팅 훈련을 지켜보면서, 타격에 있어서는 두사람 다 아직 잡아나가야 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 했다. 오래 백업 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맞춰잡는 위주의 타격을 하다보니 본인만의 스타일 형성이 안돼있다는 뜻이다. 남은 캠프 기간에도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그동안 두산은 FA 보상 선수를 투수 위주로 선택해왔었다. 민병헌 보상 선수로 외야수 백동훈을 지명한 것이 마지막이었다. 2명의 내야수를 택했다는 것은 그만큼 필요성을 느꼈다고 볼 수 있다. 탄탄했던 두산 내야의 공백을 이들이 얼마나 채울 수 있을까. 이들의 성장에 달려있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