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2021 KBO리그 FA시장은 1000억원 시대의 서막으로 기록될 것이다.
KBO리그 10개 구단의 재정 적자는 이미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코로나19 창궐 이후 무관중 시대를 거치면서 수익이 급감했다. 2020시즌 전체 720경기 중 관중 입장 체제로 치른 경기는 142경기 뿐이었다. 2019시즌 858억원이었던 10개 구단 총 관중 수입은 지난해 무려 94.8%가 줄어든 44억원대로 급감했다. 올 시즌 입장 정원 제한으로 족쇄가 일부 풀렸다. 이를 통해 10개 구단 관중 수입은 182억원대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2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78.7% 적자 상태다.
10개 구단 모두 지난해보다 관중 수입은 증가했다. 하지만 2019시즌 수치와 비교하면 대부분 수입 규모가 ¼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올해 정규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직행한 삼성만 유일하게 38억6557만원의 관중 수익으로 2019년(82억2465만원) 대비 47% 수준의 회복을 했다.
두 시즌 간의 수익 절벽 속에 10개 구단의 재정 적자는 큰 폭으로 확대됐다. 입장 수익 뿐만 아니라 상품 판매도 급감하면서 심각한 재정 타격을 입었다. 일부 구단에선 운영-인건비 지급을 위해 자산을 매각하거나 대출을 받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관중 입장 규모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않는다면 이런 적자-위기 상황의 폭은 더 커질 수 있다.
FA시장에서 모기업의 '온정'을 기대할 수 있었던 이유는 프로야구의 상품성 때문이다. 그러나 재정 적자 상황이 길어지면 결국 선수단 운영-지원, 마케팅에 영향이 생기고, 곧 프로야구의 질적 하락과 흥행 부진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최대 무기인 '인기'가 사라진 프로야구에 과연 모기업이 또다시 돈 보따리를 풀어낼진 미지수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