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KBO리그가 올시즌 퓨처스리그에 한정하기는 했지만 '투수 세 타자 상대 규정'을 신설했다. 이제 투수가 마운드에 오르면 최소 3명의 타자와 승부를 해야한다.
이닝이 끝났을 때는 투수가 상대한 타자 수와 관계없이 다음 회에 교체될 수 있지만, 만약 다음 이닝에도 다시 등판할 경우엔 남은 타자 수만큼 상대를 해야 교체할 수 있다. 이때 견제구로 주자를 아웃시킨 경우는 타자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일단 올해는 퓨처스리그에서만 이 규칙을 적용해 장단점을 확인한 뒤 내년 이후에 1군에서도 적용할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오히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제구력 좋은 투수가 1군에 중용될 가능성이 높다. 보통 불펜 투수로는 공이 빠른 구위형 투수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구종이 단조롭더라도 구위로 상대 타자를 찍어 누르게 하는 것. 지금은 제구가 좋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바로 다음 투수로 교체하면 된다. 하지만 세 타자 의무 규정이 도입될 경우엔 타자 3명과 승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제구가 잘 되지 않으면 자칫 볼넷 3개만 내주고 내려갈 수도 있다. 투수가 올라갔는데 볼만 던지면 교체도 하지 못하기에 그냥 쳐다볼 수밖에 없다. 아무리 구위가 좋아도 제구력이 좋지 못하면 코칭스태프로선 마운드에 올리기가 꺼려질 수밖에 없다.
일단 1년 이라는 유예기간이 생겼다. 퓨처스리그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보면서 각 구단도 대책을 세워야 할 듯 싶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