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예정된 국제 대회는 없지만 시간이 많은 것은 아니다. 지금부터 준비를 시작해도 늦다.
|
당시 아시안게임 사령탑으로 확정돼있었던 류중일 전 LG 트윈스 감독이 아시안게임이 코로나19 여파로 1년 연기되면서 자연스럽게 임기가 늘었고 이후 프리미어12까지 맡게 됐다.
|
늘 한 수 아래라고 평가했던 대만은 이번 프리미어12에서 미국 마이너리그에서 뛰는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세대 교체에 완벽히 성공한 모습이었다. 대만은 결승전에서 세계 랭킹 1위 일본마저 꺾고 사상 첫 우승을 차지하는 저력을 보였다. 프로 리그 수준은 KBO가 훨씬 더 높은데 한국 야구 대표팀이 대만 대표팀에 몇년째 고전한다는 사실은 대표팀이 제대로 된 대비책을 세우고 실전에서 이행하지 못했다는 방증이다.
이제는 확실한 성과가 필요하다. 더 이상 '세대 교체 중이니 희망을 봤다'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가 없다. 성적을 내야 한다. KBO리그는 미국 메이저리그, 일본 프로야구에 이어 전세계 세번째 수준의 프로 리그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야구 대표팀의 국제 경쟁력은 2006~2010년에 비해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
2026년 3월 열릴 WBC는 사실상 내년 1년 내내 준비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3회 연속 1라운드 탈락이라는 굴욕을 겪었고, 특히 유독 선수들이 정규 시즌 개막 직전인 3월 대회를 힘들어했던 과거를 생각하면 이번에는 다른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특히 WBC는 주최인 MLB 사무국이 지난 대회부터 메이저리거의 출전을 적극 권유하면서 대회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내년에도 오타니 쇼헤이를 비롯한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상당수 출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어쩌면 WBC는 한국 야구가 다시 강해졌다는 모습을 보여줄 최고의 무대다.
그런데 또 실패로 끝난다면 대표팀 세대 교체의 명분도 아무런 의미 없이 사라지고 전체가 방향성을 잃고 표류할 수밖에 없다. 이번 프리미어12에서 분명하게 확인한 아쉬움을 다시 반복해서는 안된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