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2025년 KBO 리그 선수(신인, 외국인 선수 제외) 519명의 평균 연봉은 1억 6071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평균 1억 5495만원보다 3.7% 상승한 금액. 역대 최고의 KBO 리그 평균 연봉이다.
▶KIA 김도영 연봉 인상률 1위
|
KT 강백호는 연봉 7억원으로 2024년 김혜성(키움)의 6억 5000만원을 넘어 8년차 최고 연봉을 기록했다. 시즌을 앞두고 FA 계약을 체결한 SSG 최정 역시 연봉 17억원으로 21년차 최고 연봉을 기록했다.
KBO 리그 24년 차로 올해 등록된 소속선수 중 가장 긴 연차를 자랑하는 최형우도 10억원의 연봉으로 2017년 이호준(NC)의 7억 5000만원을 훌쩍 넘어 연차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
▶SSG 김광현, 2025 KBO 리그 연봉 1위
김광현은 2025년 연봉 30억원으로 KBO 리그 '연봉킹'에 올랐다.
2022년 구단과 맺은 다년 계약에 따라 2024년 연봉 10억원에서 무려 20억원이 오르며 2025년 등록된 선수 중 가장 높은 인상액을 기록했다. 기존 19년차 최고 연봉이었던 2019년 이대호(롯데)와 2024년 류현진의 25억원 기록도 경신했다.
연봉 공동 2위는 20억을 기록한 삼성 구자욱과 KT 고영표, 한화 류현진. 그중 구자욱은 야수 최고 연봉을 기록했다.
김광현, 고영표, 류현진이 투수 중 가장 높은 연봉 상위 3명으로 집계됐고, 야수는 구자욱에 이어 17억원을 기록한 SSG 최정, 16억원을 기록한 두산 양의지가 톱3에 차례로 이름을 올렸다.
한편 각 구단별 최고 연봉 선수는 투수가 4명(KT, SSG, 롯데, 한화), 야수가 6명(KIA, 삼성, LG, 두산, NC, 키움)이었다.
|
지난 시즌 KBO 리그에 복귀해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KT 로하스가 180만 달러의 연봉으로 외국인 선수 연봉(계약금 포함) 1위에 올랐다. 2024 시즌 KIA의 우승을 이끈 네일과 SSG의 에레디아가 총액 160만 달러로 공동 2위.
30명의 외국인 선수 중 미국 국적이 20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베네수엘라 5명, 도미니카 공화국 2명, 아이티, 쿠바, 파나마 국적의 선수가 각각 1명씩이다.
|
SSG는 평균 연봉이 지난해 대비 30.3% 증가하며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연봉 총액 117억 2600만원으로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100억원을 넘겼다. 평균 연봉도 2억 2125만원으로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평균 2억원을 넘겼다.
삼성이 23.4% 상승된 총액 99억 4200만원(평균 1억 8411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롯데가 3.4% 인상률로 총액 94억 6600만원(평균 1억 7530만원), KIA가 25.5% 인상률과 함께 총액 94억 2300만원(평균 1억 7,779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
2025년 KBO 리그 최고령 선수는 42세 6개월 16일의 삼성 오승환이다. 최연소 선수는 18세 1개월 19일의 키움 김서준.(소속선수 등록 마감일 1월 31일 기준).
1m98의 큰 키로 지난해 KBO 리그 최장신 선수였던 삼성 레예스에 한화 새 외국인 투수 폰세가 합류하며 2025년 공동 최장신 선수로 등록됐다.최단신 선수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m63 듀오 삼성 김성윤, 김지찬이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