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이런 가격으로 잡는 게 맞나 싶다."
FA 선수 영입은 각 팀들이 단숨에 전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다. 물론, 선수를 얻기 위해 돈이 들어가는 건 필수다.
그런데 그것도 상식선이어야 투자가 가능하다. 유독 올해 FA 시장 개막 후 각 구단들의 한숨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
시장에서 경쟁이 붙을 선수들은 이 정도다.
박찬호가 대표적이다. 주전 유격수가 없는 팀들이 많아 인기가 많을 걸로 예상됐다. 하지만 과한 측면이 있다. 4년 기준 총액 100억원 얘기가 나온다. 뛰어난 선수인 건 맞지만, 기존 계약 사례들을 봤을 때 수비형 선수가 100억원을 받은 적은 없었다. 불과 작년 유격수 심우준이 50억원에 계약한 것도 '오버페이'라고 난리가 났었다. 박찬호가 3할을 칠 수 있는 타자라고는 하지만, 4년 기준 100억원 가치가 있는 선수냐고 할 때 모든 구단 관계자들이 고개를 가로젓는다. 그런데 영입전에는 뛰어들고 있으니 아이러니컬한 상황이다.
김현수도 마찬가지다. LG 트윈스의 통합 우승을 이끌었고, 한국시리즈 MVP로 건재함을 알렸다. LG와의 2년 25억원 옵션을 달성하지 못해 FA로 나오게 됐는데, 그게 전화위복이 된 상황이다. 하지만 김현수도 내년에 40세다. 불혹에 접어든 선수에게 계약 기간과 총액을 늘려주는 건 위험한 선택일 수 있다. 그런데 2년 25억원은 기본값이 됐고, 거기서 더 상향된 조건이 시장가로 형성되면 구단들은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
하지만 이것도 너무 지나치면, 저항이 생길 수밖에 없다. 에이전트 시대를 맞이해 터무니 없이 치솟는 몸값에 구단들이 질려버리면, 지갑을 닫게 될 여지도 생길 수 있다. 실제 실탄을 두둑히 장전한 것으로 알려졌던 B구단은 최근 준척급 매물들로 눈을 돌렸다고 한다. 지나친 오버페이 여론은 모기업의 눈치를 보게 만든다.
물론, 그런 분위기가 만들어질 때마다 '우리는 살아야 한다'며 과도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구단들이 나오니 문제는 해결이 되지 않는다. 결국 돈은 구단들 스스로 쓰는 것이다. 달라고 하는대로 주고, 너무 심한 거 아니냐고 욕할 것도 없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