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농구 순위 싸움이 한창이다. 시즌 소화만으로도 선수단, 프런트는 정신없다. 그런데 최근 각 구단 프런트는 다른 작업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바로 다음 시즌 외국인 선수 영입전이다. 한국농구연맹(KBL)은 리그 흥미를 배가시키겠다며 다음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2명의 동시 출전을 결정했다. 당연히 새 얼굴 찾기를 해야한다. SK LG 동부 오리온스 삼성 모비스 관계자들이 최근 미국 캘리포나이주 산타크루즈에서 열린 D리그(NBA 하부리그) 쇼케이스에 다녀왔다.
하지만 KBL의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판세가 흘러가고 있다. 각 팀들은 '제2의 맥도웰'을 찾기에 바쁘다. 맥도웰은 97년 한국무대에 데뷔해 2004년까지 뛴 장수 외국인 선수. 1m94로 큰 키는 아니었지만 탄탄한 체구를 바탕으로 탱크같은 플레이를 펼쳐 사랑받았다. 맥도웰 시절 현대 걸리버스(전주 KCC 전신)는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리카르도 포웰은 팀 내 최고 스타다. 3시즌 연속 활약하며 외국인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주장 자리에 오르고, 쇼맨십도 화려해 팬들이 좋아한다. 화려한 플레이는 기본이다. 이런 스타 선수들이 늘어나야 농구 인기도 올라간다.
그런데 다음 시즌 포웰을 볼 수 있을까. 세상 일에 100% 확률은 없다지만, 그 확률이 매우 떨어진다. 단신 외국인 선수 영입 규정 때문에 각 팀들은 무조건 나머지 1장의 카드를 장신 센터로 뽑으려 할 것이다. 99% 그럴 수밖에 없다. 포웰이 2옵션으로 가면 된다고? 그럴 수 없다. 포웰은 키가 1m97이다. 1m93을 넘는다. 1명의 테크니션형 선수를 보유해야 하는 상황에서, 골밑 자원을 포기하면서까지 포웰을 데려갈 팀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포웰이라는 인기 아이템을 이런 규정 때문에 잃는 것은 프로농구의 큰 손해다. (물론, 3시즌 연속으로 한 팀에서 뛰면 재계약 할 수 없다는 규정 때문에 포웰은 무조건 전자랜드를 떠나야 하는 점도 아쉬운 부분이다.)
포웰에 비해 확률은 떨어지지만 서울 SK 나이츠 애런 헤인즈의 존재도 애매해질 수 있다. 물론 헤인즈는 2m1로 키가 더 크고, SK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커 재계약 확률도 분명 있겠지만 SK 입장에서는 고민을 할 수밖에 없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