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부자 연봉킹' 허훈X'세 번째 연봉 1위' 김선형 활짝…두경민→전성현 '역시나' 보수조정 신청

김가을 기자

기사입력 2025-07-01 20:29


'부자 연봉킹' 허훈X'세 번째 연봉 1위' 김선형 활짝…두경민→전성현 …
사진제공=KBL

'부자 연봉킹' 허훈X'세 번째 연봉 1위' 김선형 활짝…두경민→전성현 …
사진제공=KBL

[스포츠조선 김가을 기자]새 시즌 KBL의 '연봉킹'은 김선형(37·수원 KT)과 허훈(30·부산 KCC)이 차지했다. KBL(한국프로농구연맹)은 6월 30일 2025~2026시즌 선수 등록을 마감했다. 10개 구단 총 160명의 국내 선수가 등록을 완료했다.

가장 관심을 모은 '연봉킹'의 영예는 김선형과 허훈에게 돌아갔다. 공교롭게도 두 선수 모두 자유계약(FA)으로 이적, 새 시즌 새 팀에서 새 도전을 앞둔 상황이다. 김선형은 서울 SK에서 KT, 허훈은 KT에서 KCC로 둥지를 옮겼다. 둘은 새 시즌 나란히 8억원(연봉 6억4000만원+인센티브 1억6000만원)에 계약해 보수 1위에 올랐다. 서울 SK를 떠나 KT에 합류한 김선형은 2022~2023, 2023~2024시즌에 이어 세 번째 '연봉킹'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KT를 떠나 KCC에 새 둥지를 튼 허훈은 생애 첫 '연봉킹'에 올랐다. 허훈은 아버지 허재 전 감독에 이어 '부자 연봉킹'이란 진기록도 남기게 됐다. 허 전 감독은 기아에서 뛰던 1997시즌 1억2000만원을 받았다. 당시 전희철(동양·현 SK 감독)과 나란히 보수 1위를 기록했다.

새 시즌 보수 인상률 1위는 KCC에서 서울 삼성으로 이적한 이근휘(27)가 차지했다. 그는 새 시즌 보수 3억2000만원(연봉 2억5600만원+인센티브 6400만원)으로 계약했다. 이전 시즌 보수(9000만원)보다 무려 256% 상승한 수치다. 2위는 한국가스공사 김국찬이다. 지난 시즌 대비 192% 오른 3억8000만원에 사인했다.

구단별 총 보수를 살펴보면 KT가 '소프트캡'을 적용하게 됐다. 새 시즌 샐러리캡은 30억원이다. KT는 선수 16명 보수로 31억 4122만2000원을 쓰게 됐다. 샐러리캡 소진율은 104.71%다. KT는 샐러리캡 초과 금액의 30%인 4236만6600원을 유소년 발전 기금으로 납부한다. '슈퍼팀' KCC도 소프트캡 적용 가능성이 있다. KCC는 15명 보수로 28억8200만원을 신고했다. 다만, 이호현과 보수조정 신청을 하게 됐다. 구단은 이호현에게 총액 2억4000만원(연봉 2억원+인센티브 4000만원)을 제시했다. 반면, 이호현은 총 2억7000만원(연봉 2억3000만원+인센티브 4000만원)을 제안한 상태다.


'부자 연봉킹' 허훈X'세 번째 연봉 1위' 김선형 활짝…두경민→전성현 …
사진제공=KBL
새 시즌 보수조정은 이호현을 비롯해 두경민 전성현(이상 창원 LG) 배병준(안양 정관장) 총 4명이 신청했다. 두경민은 보수로 1억4000만원을 원했지만, 구단은 최소 연봉인 4200만원을 제시하는 데 그쳤다. 전성현은 3억5000만원을 원하지만, 구단은 2억8000만원을 안으로 냈다. 예상했던 시나리오다. LG는 지난달 10일 KBL에 두경민의 웨이버 공시를 요청했다. 불편한 관계가 지속된 상황이었다. 전성현도 LG와 결별설이 도는 상황이었다. 한편, 배병준은 구단(2억4000만원)과 2000만원의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보수조정을 신청하게 됐다. 그는 지난 시즌에 이어 또 한 번 보수조정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이 됐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