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박지은 작가의 클리셰는 또 통할까.
|
|
여주인공 캐릭터도 비슷하다. '별그대'의 천송이나 '푸른바다의 전설'의 인어 심청이나 종족만 다를 뿐, 여신 외모와 달리 깨는 행동을 한다는 점은 같다. 천송이가 야밤의 치킨 먹방을 선보였다면 심청은 파스타를 손으로 집어 먹는 먹방을 준비했다. 천송이가 술에 취해 '총 맞은 것처럼'을 부르며 울부짖는 장면 대신 인어가 어항 속 물고기를 보고 으르렁 거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처럼 완벽한 외모와는 달리 코믹하고 엽기적인 여주인공이 극을 이끌어간다는 점은 '별그대' 뿐 아니라 박 작가의 전작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특징이다.
|
박 작가는 항상 '똑같다', '뻔하다'는 혹평을 받으면서도 좋은 흥행 성적을 이어왔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판타지로 클리셰와 개연성을 절묘하게 포장하는 박 작가의 능력 덕분이다. 다른 로맨틱 코미디물과 박 작가의 로맨틱 코미디가 가장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이 바로 이 판타지다. 일반적인 로맨틱 코미디는 남자 주인공에게 모든 판타지를 부여한다. 막강한 재력, 완벽한 스펙, 화보를 찢고 나온 듯한 비주얼을 고루 갖춘 남자 주인공들을 등장시켜 여성 시청층을 공략하는 것이다. 반면 박 작가는 여주인공에게 상당히 많은 공을 들인다. 배우 자체가 갖고 있는 이미지를 작품 속으로 그대로 끌고 들어오되, 그 이미지와 정반대되는 행동을 설정한다. 예를 들자면 이런 식이다. '내조의 여왕'에서는 도시적인 이미지가 강했던 김남주를 무능력한 남편을 일으켜 세우는 현모양처로 만들었다. KBS2 '프로듀사'에서는 '공블리' 공효진에게 표독스럽고 까칠한 이미지를 부여했다. '별그대'에서는 자타공인 톱스타이자 고급스러운 전지현의 이미지를 그대로 살린 천송이 캐릭터를 만들었지만 무식이 통통 튀는 푼수라는 설정으로 반전을 꾀했다.
|
이런 박지은 작가의 작풍은 꽤 효과가 좋았다. 멀게만 느껴졌던 여자 스타들이 화끈하게 망가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남성팬들은 물론 여성팬들까지 여주인공 캐릭터를 친근하게 느끼도록 한 것이다. 수동적인 여주인공에게 질려 있던 시청자들에게 색다른 자극이 된 지점이기도 하다.
더욱이 박 작가는 코미디에 강한 작가다. 최근 SBS '닥터스', KBS2 '구르미 그린 달빛' 등 흥행작들이 모두 밝고 경쾌한 분위기의 작품이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무거운 작품보다는 박 작가의 유쾌한 작품이 시청자에게 더 어필할 가능성이 높다.
대진운도 좋은 편이다. '푸른바다의 전설'은 KBS2 '오 마이 금비', MBC '역도요정 김복주'와 맞붙는다. '오 마이 금비'는 아동 치매에 걸린 딸과 그 딸을 돌보는 평범한 아빠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허정은 오지호 박진희 오윤아 이지훈 등이 출연한다. '역도요정 김복주'는 바벨만 들던 스물한 살 역도선수 김복주에게 닥친 폭풍 같은 첫사랑을 그린 감성 청춘 드라마로 이성경 나주혁 경수진 이재윤 등이 출연한다. 스타 파워나 스토리나 '푸른바다의 전설'이 우세해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과연 이번에도 시청자들은 이번에도 박지은 작가표 클리셰에 공감할까.
'푸른바다의 전설'은 '질투의 화신' 후속으로 16일 오후 10시 첫 방송된다.
silk781220@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