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터뷰 종합] "??을 때와는 달라"..한석규, 40년 고민한 연기인생

기사입력 2019-03-08 13:45


사진=CGV아트하우스 제공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영화 '우상'의 개봉을 앞둔 한석규를 만났다.

한석규는 1990년 KBS 성우극회 제22기로 입사해 성우활동을 하다 다음해인 1991년 MBC 공채 탤런트 20기로 재입사해 1993년 '아들과 딸'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각인됐다. 또 1994년에는 '서울의 달'로 스타덤에 오르며 스크린과 브라운관에서 고루 활동을 해왔다. 영화 데뷔작이던 '닥터봉'(1995, 이광훈 감독)을 시작으로 '쉬리'(1999, 강제규 감독)까지 끝없는 흥행을 했다. 2011년 10월에는 SBS '뿌리깊으 나무'로 16년 만에 브라운관으로 복귀했고, 성공적 성적을 거둠과 동시에 데뷔 후 첫 연기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 SBS '비밀의 문 : 의궤 살인 사건'(2014)로도 각인됐으며 SBS '낭만닥터 김사부'(2016)를 통해 또다시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한석규는 스릴러 영화 '우상'(이수진 감독)에 출연했다. '우상'은 아들의 뺑소니 사고로 정치 인생 최악의 위기를 맞게 된 남자와 목숨 같은 아들이 죽고 진실을 좇는 아버지 그리고 사건 당일 비밀을 간직한 채 사라진 여자, 그들이 맹목적으로 지키고 싶어 했던 참혹한 진실에 관한 이야기를 그린 스릴러 영화다. 한석규는 아들의 뺑소니 사고로 벼랑 끝에 선 도의원 구명회 역을 맡았다. 아들을 잃고 비통함에 빠져 비밀을 밝히려 애쓰는 아버지 유중식 역의 설경구, 정체를 알 수 없는 여인 최련화 역의 천우희와 함께 알 수 없는 관계를 유지하며 극의 몰입도를 높인다.

한석규는 연기를 꿈궜던 16살 시절로부터 40년째, 그리고 연기자가 된 후 24년째 연기에 대해 고민하는 배우다. 처음엔 나를 보여주겠다는 생각으로 연기했다면, 이제는 느끼는 그대로를 표현하는 방향으로 마음을 변화시켰다는 설명. 한석규는 "저는 믿음에 대한 생각을 하기 보다는 내가 생각하는 것을 꾸준히 할 뿐이다. 그걸로 영향이 끼쳤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잘 안하게 된다. 나라는 성향의 사람은 이렇다는 생각이다. 이런 생각으로 너무나 고맙게 연기자가 됐다. 아직까지 한다는 것은 복일까. 부족할 필요는 없지만, 정성을 다해 꾸준히 한다. 그리고 '죽었다'가 되면 좋겠다는 거다. 존경하는 법정스님이 그랬다. 나는 그분이 참 좋다. 직접 뵀다. 우연히. 영화를 찍다가 커피숍에서 만났다. '접속'을 찍던 때 같다. 기다리고 있는데 승복을 입고 딱 들어오셨다. 그분이 법정스님이셨다. 그 인상을 평생 못 잊겠다. 나를 보지도 않고 슥 지나가는데 현명한 사람이었다. 그분이 돌아가실 때 '나의 시간, 나의 공간 속에서 나는 사라진다'고 표현하셨던 거 같다. 다 없애달라고 표현하셨다. 자신의 책이나 글 모두 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석규는 "'한 부자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한석규가 있었다. 그는 연기를 하고 정점에 올랐다. 그리고 죽었다'는 얘기로 들리기도 한다. 내가 영화나 연기를 통해 무엇을 원하는 걸까 그 생각을 하는 거다. 여태까지 생각했는데 답은 이거다. 초발심. 내가 연기를 하고 싶어했던 그때 그 마음. 고등학교 때. 내가 느낀 그 감정들. 그것 때문에 했구나 싶다. 전에는 사람들에게 보여줘야지 하며 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게 아니라 내가 느끼고 싶어서 하는 거 같다. 연기하는 순간에 일을 하면서 그때 들었던 그걸 예술적 체험이라 표현하고 싶다. 근사하게 표현한다면. 16살 소년이 느꼈던 예술적 체험이다. 여태껏 느껴보지 못했던 그 것이다. 생각해보니 느끼고 싶어서 연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이냐. 왜 하느냐는 답이 나오는데 그것을 통해 무엇을 하고 싶어 그러느냐고 물으면 계속 생각하며 하는 거다"고 말했다.


사진=CGV아트하우스 제공
또 한석규는 "그래서 꾸준히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다. 점점 나아지고 있다. 생각해보니 연기, 35년 직업이다. 대학교 때까지 포함하면. 그리고 맨 처음에 해봤으면 하는 것까지 포함하면 40년이다. 생각하면 조금씩 나아졌다. 이런 경험, 저런 경험하면서. 연기라는 것이 그렇다. 연기는 다 그렇다. 연기라는 것이 결국엔 알고리즘이다. 한석규라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다 보여줄 뿐이구나. 그것도 진솔하게. 젊을 때는 필터를 좀 쳐서 보여주기도 하지 않나. 지금은 가능하다면 필터 없이 가림막을 친 것을 거둬내고 전부를 다 보여줄 것이니. 어떻게 하면 좋아질까 싶다"고 밝혔다.

그만큼 늘 자신의 연기에 대해 고민한다는 것. 한석규는 '우상'을 통해 배운 것들에 대해 언급하며 ". 영화라는 작업, 특히 연기라는 작업은 제가 하는 많은 일들이 리액션에 대한 일들이다. 전에는 그걸 액션이라고 생각했고 내가 하는 모든 연기를 능동적으로 한다고 생각했다. 20대 때 연기를 배울 때. '이걸 어떻게 하나' 생각했다. 산다는 일 자체가 전에는 '이걸 어떻게 하나'라고 했었는데 이젠 '어떻게 반응 하나'가 사는 것 같다. 사람은 평생 반응하다가 '산다'라는 일은 반응을 하는 일이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근데 우리들은 내가 뭔가를 한다, 내가 능동적으로 해낸다고 생각하지 않나. 저도 그랬다. 그런데 연기란 일이 뭘까를 생각하다가 내가 반응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을 더 많이 했다. 전에는 한다는 것에 정신이 팔려서 내가 할 때만 정신이 팔렸다. 20대, 30대 때. 내가 할 순서만 기다렸던 거다. '내가 할 차롄데' 이렇게. 연기가 조금 더 좋아졌다면 할 차례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하는 것을 보고 듣고 반응하는 거다. 그러니 조금 괜찮아진 거다. 그러니 많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사진=CGV아트하우스 제공
이어 "폭을 넓혀 생각하니 내가 살아간다는 것도 반응하는 일이구나,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중요한 거구나. 구명회는 사건이 터지고 반응하는 거였다. 제가 능동적으로 뭔가를 한다고 생각하는 거겠지. 자기가 뭘 능동적으로 헤쳐나간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다 바보 같은 반응을 한 거다. 바보 같은 선택, 바보 같은 리액션을. 바보 같다고 하지만, 비겁하고 교활한 반응을 한 거다. 그런 반응을 한 이유는 도대체 뭐냐는 거다. 그게 영화의 주제다. 명회라는 인물을 통해 관객들께 보여드리고 싶고 '생각해보면 어떨까요'하고 개인적으로 묻고 싶어서 하게 된 거다. 구명회는 왜 비겁하고 교활한 반응을 계속 한 것인지, 어느 한 순간에 '이러면 안된다. 그만하자'고 솔직해지지 못했을까. 그런 일이 현실에서 차고 넘친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한석규는 진폭이 넓은 캐릭터 속에서 자신을 표현할 예정이다. 그는 "이야기가 별로라면, 캐릭터가 중요치 않다. 전부터 저는 그런 편이다. 한 영화에서 변신을 하는 거라면, 저에게는 큰 매력이 없다. 저는 오래했고, 한 영화에서 변신을 해봐야 얼마나 하겠나. 영화한지 오래 됐다. 햇수로 24년이다. 이번 영화가 24번째 영화다. 영화로 치면. 그러니까 여태까지 영화를 통해 나름대로 다양한 이야기를 하려고 했는데 그 때마다 좀 달랐다.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 착한 사람도 했고, 막동이도 했었다. '서울의 달'에서는 직업은 그랬지만, 청년 역할이었다. 그런데 한 작품에서 변신의 폭이 넓은 것보다는, 대신 가능하다면 진폭이 넓은 인물이면 좋겠다. 그럼 더 기쁠 거다. 구명회는 진폭이 꽤 있는 사람이다. 영화 대사 중에 그런 얘기가 있지 않나. '무엇을 믿느냐 보다는 무엇을 믿게 하느냐'라는 대사가 인물을 보여줄 수 있는 대사였다"고 말했다.

'우상'은 지난 2014년 개봉한 독립 장편 데뷔작 '한공주'로 데뷔, 섬세하고 집요한 연출로 거장 마틴 스콜세지 감독에게 극찬을 받고 마라케시국제영화제,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청룡영화상 등 국내외 영화계를 휩쓸며 단번에 충무로에서 가장 주목받는 감독으로 자리매김한 이수진 감독의 신작이다. '한공주'에 이어 5년 만에 꺼낸 '우상'은 '한공주'보다 더 묵직하고 짙은 메시지로 강렬하고 파격적인 전개로 여운을 남긴 작품이다. 앞서 '우상'은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제69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파노라마 섹션에 공식 초청돼 전세계 영화인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탄탄한 연출로 143분간 밀도 높은 서스펜스를 펼친 '우상'은 충무로의 연기 신인 한석규와 설경구, '한공주'로 제35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사상했던 천우희의 열연으로 몰입도를 더하는 작품. 오는 20일 개봉한다.

lunamoon@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