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줌人]유동근→유아인→장혁…'나의나라' 역대급 이방원 탄생의 서막

기사입력 2019-11-11 15:14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태종 이방원이라는 인물은 창작자들에게는 너무나 매력적인 캐릭터다. 태어날 때는 왕족이 아니었지만 왕의 아들이 됐고 이후에도 정적들을 '도장깨기'한 후 결국 왕좌에 오른 인물이기에 이야기를 꾸미기에 최적화된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덕분에 이방원을 주인공으로한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가 탄생했다. 하지만 시청자들의 뇌리에 가장 깊이 새겨진 이방원을 연기한 배우는 많지 않다. '용의 눈물'에서 이방원을 연기한 유동근, '육룡이 나르샤'에서 태종 역을 맡은 유아인 정도다. 그리고 최근 방송중인 JTBC 금토극 '나의 나라'에서 이방원 역을 한 장혁 역시 이 대열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유동근의 이방원은 현재까지 '카리스마 끝판왕'이라고 불린다. '용의 눈물'에서 이방원의 일생을 실록에 가장 가깝게 묘사했고 유동근의 카리스마가 브라운관을 압도했다. '용의 눈물'이 지금까지 명작으로 남아있는 이유 역시 유동근의 연기력이라고 할 수 있다. 유동근의 인기로 '용의 눈물'이 59회나 연장될 만큼 그는 이 작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냈다.

그런가 하면 '육룡이 나르샤'의 이방원 역시 '킬방원'이라는 닉네임을 얻었을 정도로 과격한 면모다. 유아인의 이방원은 그가 어떻게 강한 군주가 될 수 있었는 지를 그리고 있다. 목적을 위해선 부모 형제에게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스타일로 변하는 젊은 이방원을 유아인은 특유의 연기력으로 완벽하게 커버해냈다. 그는 영화 '사도'의 사도세자 역과 이 캐릭터로 인해 연기력을 확실하게 인정받았다.


그리고 장혁이 다시 이방원으로 돌아왔다. 장혁이 이방원 역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영화 '순수의 시대'에서도 이방원 캐릭터를 연기한 바 있다. 장혁은 "'순수의 시대'에서 이방원 역을 하다 보니, 영화가 가진 두 시간 안에서 내 분량을 표현하는 것이 아쉬움이 있던 것 같다. 언젠가는 다시 그 역할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다"며 "기존에 봤던 이방원은 야심과 야망을 가지고 앞으로 걸어가고자하는 시각이 많았던 것 같은데 그런 측면과 달리 ('나의 나라' 속 이방원은) 왜 이 사람이 걸어갈 수밖에 없었는지, 전반과 후반이 다르지 않을까 싶었다"고 다시 이방원을 연기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그는 "허구의 이야기지만 개연성을 가지고 설득력 있게 간다면 그 얘기가 잘 전달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부담스러우면서도 편하게 촬영하고 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그의 말처럼 한 번의 경험은 그를 더 완벽한 이방원으로 만들어놨다.

특히 9일 방송분에서는 왜 이방원이 장혁이어야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이날 방송에서 이방원은 말그대로 '명언제조기'였다. "살아남아라, 이것이 나의 명이다"라고 난을 시작한 이방원은 삼군부를 장악하고 "내 명으로 흘린 모든 피는 내가 다 뒤집어 쓴다. 허니 묻자. 누가 감히 나에게 맞설 것이냐"라고 호령했다.



서휘(양세종)를 대신해 남전(안내상)을 벤 이방원은 "벗의 아비를 죽인 죄책감으로 평생을 살지 말거라. 내 그리 살았다. 포은(정몽주)을 보내고. 감당못할 일이다"라고 감쌌고 죽은 세자를 안은 이성계(김영철)에게는 "전하가 죽인 것입니다. 제가 아니라. 전하의 욕심때문에, 옥좌를 지키시려고 자식들을 싸우게 하셨고 그 싸움을 즐기셨고 그 결과가 이것입니다. 방석이는 아버님이 죽이신 겁니다"라고 담담히 말했다.

장혁은 때로는 강한 목소리로, 때로는 읊조리듯 대사의 강약을 조절하며 이방원을 연기하며 시청자들의 이방원의 감정선을 그대로 느끼게 만들었다. 때문에 유동근의 이방원, 유아인의 이방원과는 또다른 연기로 새로운 이방원을 탄생시켜냈다.'나의 나라' 속 이방원이 앞으로도 계속 회자될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