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첫 주차 성적, 기대 이하다. 높은 제작비에 1년에 가까이 이어졌던 기대감, '실패도 없는 성공신화'를 써왔던 김은숙 작가의 극본이 만났지만 결과물을 마주하니 생각이 달라진다. 지금이 2020년이 맞나 싶을 정도로 들은 귀를 의심하게 만든 대사부터 전작의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 설정과 전개들이 아쉬움만을 남기고 있다.
자신을 막아 세우는 정태을(김고은)에게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설명하며 '이과형' 인간의 면모를 확실히 보여줬다. 그러나 반대로, 대한민국이 대통령제를 택한 공화국이라는 것까지 빠르게 간파한 뒤에도 자신의 신분을 앞세우며 행동하는 모습들이 그려지며 매력이 반감된다는 평이다.
|
|
물론, 모든 것을 대본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차진 대사를 써줬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배우들의 문제도 있었고 그에 대해 제대로 된 디렉팅을 주지 못한 백상훈 감독이나 정지현 감독의 문제도 발생했을 터. 작가가 준 대본을 현장에서 완성하는 것은 배우와 연출의 몫이지만, 이를 마치 '학교' 시리즈를 찍어내듯 정직하게 찍어낸 탓에 '더 킹'의 매력은 반감되고 전개 역시 끊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
작품을 둘러싼 문제 또한 발생했다. 이번에는 왜색논란까지 악재가 겹치고 또 겹쳐버린 것. 오프닝 타이틀에서 일본 사찰을 연상하게 만드는 목탑의 구조를 사용한 것, 그리고 황실의 문양이 벚꽃을 닮은 것 등이 문제가 됐다. 제작사는 스포츠조선에 "황실문양은 '이중 오얏꽃'을 디자이한 것이며 일본 왕가의 문장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또 타이틀에 대해서도 "탑의 경우 백제역사재현단지에 전시된 '백제5층목탑'을 베이스로 하였으며, 자료로 남아 있는 목탑의 특징을 재배치하여 가상의 목조건물을 만든 것으로 오해가 없으셨으면 한다. 그러나 2층 목조건물의 경우 우리나라 사찰과 중국의 궁의 특징을 베이스로 하여 가상의 목조건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본 사찰의 일부 특징적인 부분이 사용되었음을 확인 하였다"고 밝히며 이를 수정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방송 첫 주차, 시청자들은 "맥시무스의 매력 빼고는 볼 것이 없다"는 한탄을 이어가는 중. 소문난 잔치였지만, 반찬만 부실했던 게 아니라 쌀밥도 제대로 지어지지 않은 모양새다. '실패 없는' 히트작 제조기로 불린 김은숙 작가가 이 모든 악재들을 뚫을 수 있을까. 겨우 방송 2주차를 맞이한 '더 킹'의 갈길은 아직 멀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