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강태오(27)가 최수영과의 호흡을 언급했다.
강태오는 드라마 '여왕의 꽃'과 넷플릭스 시리즈 '첫 사랑은 처음이라서' 등에 출연했고, 지난해에는 KBS2 '조선로코-녹두전'에서 흑화된 차율무 역을 맡아 안정적인 연기력을 선보인 바 있는 배우. 최근 오랜 매니저와 새 소속사인 맨오브크리에이션으로 적을 옮긴 뒤 JTBC '런온'(박시현 극본, 이재훈 연출)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강태오는 8일 화상인터뷰를 통해 스포츠조선과 만났다.
앞서 인터뷰를 진행했던 최수영은 강태오의 첫 쌍방 로맨스 상대로서 부담감을 느꼈다고. 이에 강태오는 "개인적으로 저는 너무 좋았다. 전 작품에서 짝사랑과 일방적 사랑을 많이 했는데 저의 제대로된 쌍방 로맨스라 생각해서 설부담감보다는 설렘이 많았던 거 같다. 그 상대 배우가 수영 누나라서 긴장감은 있었는데, 촬영 전부터 사적으로 많이 만나면서 대화도 하면서 많이 풀었던 거 같다. 현장에서도 재미있게 촬영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강태오는 "'런온'을 통해 수영 누나를 처음 만나게 됐는데 저에게는 너무 너무 영광이었다. 배우 수영 누나라는 사람을 만나면서 같이 대본 리딩도 하고, 캐릭터 분석도 많이 한 적이 있는데 누나한테 많이 배운 점이 있고, 너무 고마웠던 것이 수영 누나가 단아라는 인물을 사랑했지만, 영화라는 인물도 너무 많이 좋아해주고 사랑해줘서 누나 입장에서 봤을 때 더욱 더 영화로 캐릭터적으로 살 수 있는 부분을 조언해줬고, 저도 몰랐던 부분을 말해줘서 연기할 때 한 것도 있다. 상대 배우의 인물까지 생각해줘서 장면과 신을 더욱 살려줄 수 있는 배우라는 것이 느껴져서 '런온'을 통해 누나를 통해 많이 배운 점이 있다. 너무 고마웠다"고 밝혔다.
강태오는 '단화커플'로 사랑을 받기도. 강태오는 "시청자 입장에서 봤는데 제가 느낀 것은 좀 아슬아슬하고 뾰족뾰족한 어떻게 될지 모르는 케미가 아닌가 싶다. 캐릭터적으로 영화도 그렇고 단아 대표님도 그렇고 지지 않고 앞으로 어떻게 튀어나갈지 모르는 인물이 만나서 사랑을 펼쳐나간다는 것이 흥미진진했던 거 같다. 그런 부분에서 많은 분들이 사랑해주신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
여기에 '울리고 싶다'는 댓글을 받기도. 강태오는 "반응을 많이 보는 거 같은데, 반응이나 피드백에 대한 생각 때문에 연기적으로 집중을 못할 거 같았는데 사람인지라 궁금해서 반응을 보고 있더라. 그래서 일단 이런 저런 반응을 남겨주신 것에 대해 감사했고. '울리고 싶다'는 댓글이 있었는데 우는 모습에 대해서 많이 남겨주셨더라. 그래서 그걸 보고 되게 기분이 이상했다. '울리고 싶다'는 것이 어떤 기분인지"라고 말하며 궁금해했다.
실제 연애 스타일도 궁금해졌다. 강태오는 "제 연애스타일은 무뚝뚝하지는 않다. 제 연애스타일이 정해지지는 않았다.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거 같다. 어떨 때는 남자답고 어떨 때는 다정다감할 때도 있다. 영화처럼 케미가 다 다른 거 같다. 어떤 인물을 만나느냐에 따라서 여러 다양한 모습이 나오는 거 같다"고 말하며 웃었다.
특히 결말에 대해서 강태오는 "시청자 분들이 상상 속에 남기는 거 아니냐. 저도 연기하면서 어떻게 될지 생각을 많이 했었다. 결과적으로 해피인지 새드인지에 대해서. 그런데 마지막에 단아 대표님이 '내 진짜 생일은 오늘로 하자'고 하는 걸 보고 새로운 시작이라고 생각했다. 그때부터 단아와 영화가 다시 차근차근 시작하지 않을까, 그게 함부로 열정적으로 찾아오는 사랑이 아니라 대표님을 생각하는 마음에서 거리를 두면서 조금씩 다가가는 새로운 시작을 알린 엔딩이 아니었나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
또 강태오는 "개인적으로 연기를 하면서 단아 대표님은 제외하고 시은 씨와 연기하면서 제가 과외를 해주는 예찬, 시은과 연기하면서 가장 많이 인상이 깊었다. 시은 씨와 연기를 하면서 영화의 편한 말과 텐션이 가장 잘 나타난 거 같다. 하면서 애드리브도 많이 할 수 있었다. 예찬 씨와 연기하며 이런 저런 소스가 나왔고, 그것도 자연스럽게 받아주셔서 예찬 씨와 하는 장면에서도 뿌듯한 장면이 많이 나온 거 같다"고 말했다.
강태오는 '런온'을 마친 뒤 tvN '어느 날 우리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에 합류한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