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은밀하게 위대하게'의 장철수 감독이 9년만에 신작을 가지고 돌아왔다. 그것도 파격적인 노출을 내세운 29금 수위의 작품이다.
장 감독은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을 통해 제63회 칸영화제 공식 초청과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하고,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통해 국내 약 695만 명 관객을 동원하며 작품성과 흥행성을 거머쥐었다. 때문에 그의 신작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이하 복무하라)도 관심을 모으는 상황이다. '복무하라'는 세계가 주목하는 노벨문학상 후보 작가 옌 롄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21세기를 뒤흔든 금지된 이야기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다.
|
"수위에 대한 고민도 물론 했다"고 밝힌 장감독은 "메시지도 자극적이기 때문에 자극의 수위도 그에 맞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로 목숨걸고 짧은 시간안에 자신의 삶을 살고싶다는 생각하는 인물들의 사랑이다. 표현 수위도 강해야한다는 생각했다"며 "시간이나 예산적 여유가 없어서 정말 쫓기면서 찍었다. 몰아붙이듯 찍었다. 쉴 틈 없이 테이크를 가다보면 감독이 무슨 얘기를 해도 배우들이 못알아들을 정도였다. 권투선수들이 라운드가 길어지면 몸에 힘이 없는 상태에서도 게임을 하는 것처럼 촬영을 했다"고 전했다.
"이 영화는 논쟁적일 수밖에 없다"라고 못 박은 장 감독은 "모두다 좋아하거나 비슷한 생각을 하는 영화도 있지만 여러 사람이 다른 생각을 하고 영화에 대해 자기 이야기를 할수 있는 영화의 가치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영화는 논쟁이 되고 자기의 의사와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영화다. 활발히 논쟁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라며 "70년대 사회주의라는 배경이 오히려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모습을 너무 잘 표현한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신분 상승을 하고 싶어하고 열심히 사려고 하고 올라가려고 하는가에 대해 묻고 싶었다. 전혀 다른 세계의 이야기인데 많은 사람들이 보고 이야기하고 논쟁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라고 말했다.
|
장 감독은 또 OTT에는 작품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극장 상영을 목표로 만들어진 작품이라 극장에서 개봉할 수 있는 상황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 엄청난 제약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이고 작품 외적으로도 영화를 꾸려가는 일이 어려웠다. 그래서 극장에서 볼 때 작품을 통해 가장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극장에서 관객들이 많이 봐주길 바라는 마음이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