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빛 기자] 방송국 PD도 AI(인공지능)로 대체되는 시대가 왔다.
27일 방송된 MBC 'PD가 사라졌다'는 AI 기수로 만들어진 프로듀서 'M파고'가 MBC 입사 후 예능 PD가 돼, 직접 프로그램을 연출한다는 콘셉트로 기획됐다.
특히 코미디언 김영철, 그룹 트리플에스 윤서연, 리포터 이라경, 래퍼 윤비, 스포츠 아나운서 정윤준 등 연예인은 물론, 성형외과 전문의, 유튜버, 수학교사 등 10인도 직접 섭외해, 눈길을 끌었다. 앞서 'M파고'는 지난해 직접 참가자 모집 안내문을 작성, '힘과 체력의 대표자', '서바이벌 전문가', '예민한 감각과 관찰력을 지닌 탐색가' 등 다양한 참가자를 모집한 바다.
|
그러면서 "연출과 편집은 저의 권한이다. 저를 존중해 달라"며 출연진에게 기상천외한 미션을 줬다. 'M파고'가 참가자들이 원하는 미션을 받아서 취합, 이후 새로운 조합으로 미션을 만들어 낸 것이다. 특히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미션들을 생성해 눈길을 끌었다. 음악과 칭찬의 체스티벌, 자기소개 피구 줄다리기, 감성 트로트 체력 대결, 줄넘기 OX 퀴즈 등 낯선 미션에 참가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
그럼에도 참가자들은 포기하지 않고 각 미션을 끝까지 해냈다. 이는 'M파고'가 미션 난이도를 참가자들이 가능한 수준으로 맞춘 것이다. 다시 말해, AI 기술을 통해, 참가자가 지닌 개성과 특질을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예능에 흥미롭게 녹일 수 있게끔 미션을 조합했다. 물론 이 미션이 신선하게 보일 수도 있는 반면, 기괴하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나름의 과학적인 출연진 섭외, 창의적이고 신선한 미션이라는 것은 분명했다. 이런 맥락에서 'M파고'의 섭외 및 기획 능력을 엿볼 수 있었다.
'M파고'의 편집점은 어땠을까. 'M파고'는 하나의 미션이 끝나면, 그때마다 바로 편집된 영상을 참가자들에게 보여줬다. 그러면서 편집된 영상의 분량에 따라 출연료를 차등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에 참가자들도 더 많은 분량과 출연료를 가져가기 위해, 어떻게든 'M파고'의 미션 알고리즘과 편집 기준을 찾아내려고 노력했다.
|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M파고'의 편집 및 출연료 산정 기준에 대해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첫 화의 최종 우승자 윤비조차 "대체 왜 1위를 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한 바다.
|
이 때문에, 합의를 할지, 경쟁을 할지, 고민하는 이들의 갈등과 분열을 포착할 수 있다. AI가 지배하는 공간에서 인간들의 갈등과 욕망이 펼쳐지는 것이다. '싸움 구경'이라는 다소 자극적이면서도 시청자들의 흥미를 끄는 최근 방송 트렌드를 'M파고'가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PD가 사라졌다'는 시청자들에게도 물음을 던져준 것으로 보인다. AI 기반의 디지털 휴먼 'M파고'가 사람의 감정을 읽고 특성을 판단하는가 하면,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읽어 전체적인 흐름을 방송 트렌드에 맞춘다는 점에서 놀라움을 준다.
|
무엇보다 프로그램의 핵심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PD 역할을 AI에게 맡겨도 큰 무리나 문제가 없다는 점이 관심사다. 그간 방송가에서 AI는 'AI 휴먼 스타'나 포맷 활용 등 보조적인 기능으로만 활용됐지만, 이제는 능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는 것이 지켜볼 가치가 있다. 이러한 AI 기술 발전이 향후 방송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
새로운 시도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MBC 'PD가 사라졌다'는 매주 화요일 오후 11시 30분에 방송된다.
정빛 기자 rightligh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