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고결한 숭고함이다. 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만드는 '하얼빈'이 모두의 피땀눈물을 담아 관객의 심박수를 다시 한번 요동치게 만들게 됐다.
18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촌동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액션 영화 '하얼빈'(우민호 감독, 하이브미디어코프 제작) 언론·배급 시사회가 열렸다. 이날 시사회에는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 역의 현빈, 통역을 담당해 온 독립군 김상현 역의 조우진, 안중근에게 필요한 무기를 수급해 주는 독립군 공부인 역의 전여빈, 일본군 육군소좌 모리 다쓰오 역의 박훈, 독립군 최재형 역의 유재명, 독립군 이창섭 역의 이동욱, 그리고 우민호 감독이 참석했다.
|
그는 "이 영화를 개봉하기까지 100번 넘게 봤다. 그런데 볼 때 마다 눈물이 나더라. 배우들의 헌신이 느껴졌다. 그런 부분이 잘 담긴 것 같다"고 전했다.
|
현빈은 "'하얼빈'을 준비하고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까지 '감사함'이라는 단어를 많이 느꼈다. 우리가 영위하고 있는 일상을 선사해준 분들에게 감사한 마음이 생겼다. 그리고 많은 스태프, 동지 배우들과 함께할 수 있어서 감사함을 또 느꼈던 영화였다"고 밝혔다.
조우진은 "아주 어려운 작품이었고 역할이었다. 살면서 이렇게 동지애를 깊이 느끼며 촬영한 게 또 있나 싶었다. 영화를 본 관객이 어떤 반응을 보여줄지 무척이나 궁금하다"며, 전여빈은 "나 또한 영화를 촬영하는 내내 참 많은 분의 희생으로 지금 이 자리에서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게 아닌가 떠올렸다. 나라는 존재를 넘어 무언가를 지키고자 하는 마음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표를 던진 작품이었다. 진심과 이타심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작품이었다"고 뭉클한 마음을 전했다.
박훈은 "화면에 압도당한 것 같다. 풍경만 봐도 눈물이 나더라. 이 영화에 내가 있다는 것이 끝나고 너무 자랑스럽더라. 이 영화를 함께 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며, 유재명은 "가슴이 벅차고 머리가 하얗다. 그들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가슴 깊이 새겼다. 같이 영화를 만든 모든 이들에게 무한 감사를 드린다. 배우라는 직업을 한다는 게 가슴 벅차다. 내게 사명감을 안겨준 시간이었다", 이동욱은 "이렇게 훌륭한 배우, 스태프와 함께할 수 있었다는 게 연기 인생에서 정말 큰 행운인 것 같다. 영화를 보고 촬영하는 내내 가장 많이 든 생각이 다들 애썼고 고생이 많았다는 감정이었다. 그런 모습이 잘 담긴 것 같아서 좋았다. 독립을 위해 애써준 많은 독립운동가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고 소회를 전했다.
안중근을 그려야 했던 현빈은 "내가 할 수 있는 게 많이 없었다. 남아 있는 자료를 읽고 기념관에 가서 발자취를 찾아보고 연구하고 상상하는 것 뿐이었다"며 "준비할 때부터 촬영이 끝날 때까지 매일 상상했던 것 같다. 거사를 치르기 전까지의 상황을 볼 수 있는 게 글 밖에 없었다. 그 글을 보며 만들어나갔다"고 고충을 토로?다.
그는 "처음 제안을 받았을 때는 거절했다. 안중근이라는 인물이 가지는 상징성이 있고 내가 감히 감당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계속 우민호 감독의 러브콜이 있었고 시나리오를 다시 보면서 문득 이렇게 좋은 인물을 연기할 수 있는 배우가 몇 명이나 될까 싶기도 하더라. 굉장히 큰 기회고 영광이라고 생각하게 됐다. 그래서 제안을 감사하게 받았다"며 "앞서 '영웅'에서 정성화 배우가 안중근을 연기했는데 모든 배우가 다 다르게 연기한다고 생각한다. 분명 다른 결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얼빈' 속 안중근은 독립투사의 모습도 담겨있지만 인간관계에서 오는 괴로움, 고통, 슬픔 등 인간적인 부분을 많이 보여주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
|
그는 "이 영화를 본 관객이 위로가 되고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 우리가 지금 비록 혼란의 시대를 관통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겨낼 것이라고 믿는다. 자긍심을 느꼈으면 좋겠다"고 울먹였다.
우 감독에 이어 현빈은 "안중근 장군, 함께한 동지들은 어떤 힘든 역경이 와도 신념을 가지고 나아간다. 결국은 좋은 결과를 만들지 않았나? 지금 또한 힘을 모아 한 발씩 나아가면 더 나은 내일이 있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조우진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움직이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런 분께 동지 같은, 간절한 기도 같은 영화가 되길 바란다", 전여빈은 "혼란한 시국을 겪고 있는 국민이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더 나은 민주주의를 꿈꾸며 앞으로 나가길 꿈꿔본다. 100여년 전 일이지만 한 국민으로서는 그렇게 과거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옳은 뜻을 위해 함께하려고 노력했다"고 조심스러운 바람을 전했다.
|
|
|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