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오징어 게임3' 황동혁 감독이 미국판과 스핀오프에 대해 입을 열었다.
황동혁 감독은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황동혁 극본, 연출, '오징어 게임3')의 인터뷰에 임했다. '오징어 게임3'의 후반부에는 미국을 배경으로 케이트 블란쳇이 딱지녀로 등장, 미국에서 게임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했다. 이에 황 감독에게 미국판 스핀오프 가능성을 묻자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옛날에 성기훈이 살아서 미국에 갔다면, 그 엔딩에서도 미국에서 다른 리쿠르터를 보는 엔딩을 생각했었다. 그랬다면 더 이야기가 이어질 여지가 있었겠지만, 성기훈이 죽음으로써 엔딩을 만들었을 때에는 엔딩이 그런 의미는 아니었다. 한 사람의 노력과 희생으로 한국의 게임은 종결됐지만, 이 시스템은 너무 공고한 것이기에 쉽게 모든 것이 끝나지 않는다는 그 정도의 상징적 의미라 생각하고 그 장면을 만든 것이다. 그걸 연결해서 미국판을 하거나 연결을 시키려고 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또 '오징어 게임'의 시즌3에는 짧은 분량이지만, 이병헌이 연기한 프론트맨의 과거 게임 모습이 담기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에 스핀오프편 제작을 해달라는 요청도 쇄도했다. 이에 대해 황 감독은 "그냥 만들어놓고 나니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 전달했기에 뒤를 이어가는 것은 의미가 없고, 다른 톤의 작품을 해보고 싶다고. 최이사(전석호)가 박선장(오달수)의 집을 뒤지는데 벽에 낚시 사진이 붙어 있다. 거기에는 딱지남(공유)과의 사진도 있고, 지나다 보면 인호(이병헌)과의 사진도 있다. 제가 살짝 숨겨둔 것이다. 이 사진은 어디에서 어떻게 찍었을지. 그런 이야기를 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체적인 생각이 있는 것은 아니기에 메시지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고, 그런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떠올렸다. 언제 하겠다는 생각을 말씀드리기에는 아직 막연하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만 기훈(이정재)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27일 공개된 이후 국내외에서 호평과 혹평 등 엇갈린 평가를 받는 중이다. 내용과 연기력에 대한 혹평이 쏟아지면서도 가장 인기있는 작품으로서의 존재감은 빛내고 있어 시선을 모은다.
30일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27일 공개된 '오징어 게임3'는 28일에 이어 29일에도 전세계 TV쇼 1위를 기록 중이다. '오징어 게임3'는 플릭스패트롤에서 순위를 공개하는 한국과 미국을 포함해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호주, 모로코, 뉴질랜드 등 93개국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압도적인 화제성을 자랑하고 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인터뷰④] '오징어 게임3' 황동혁 감독 "케이트 블란쳇 등장이 美 스…](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06/30/2025063001002089300296681_w.jpg)
![[인터뷰④] '오징어 게임3' 황동혁 감독 "케이트 블란쳇 등장이 美 스…](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06/30/2025063001002089300296682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