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한중전]리피의 중국 무엇이 달라졌나

임정택 기자

기사입력 2017-03-23 22:29


마르셀로 리피 중국 감독. ⓒAFPBBNews = News1

"상대 팀인 한국을 존중한다."

마르셀로 리피 중국 감독이 한국과의 대결을 앞두고 남겼던 말이다. 노련한 '여우'다운 표현이었다. 겸손함과 동시에 묘한 자신감이 묻어 있었다.

23일(한국시각) 중국 창사 허룽스타디움에서 한국과 중국이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A조 6차전을 벌였다. 결과는 0대1 한국의 패배. 2010년 2월 0대3 완패 후 7년만의 중국전 패배다. 리피 감독 전술에 고배를 마셨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간 중국은 한국을 상대로 수비적인 전략을 들고 나왔다. 압도적인 기량 차이로 인한 '공한증'은 리피 감독 조차 결코 지울 수 없는 트라우마였다.

중국이 달라졌다. 리피 감독은 4-3-3 카드를 꺼냈다. '중국의 메시' 우레이를 최전방에 세우고, 기동력 좋은 장시저와 위다바오를 좌우에 배치해 속도를 높였다.

도전적인 2선 조합이었다. 리피 감독은 공수 균형을 갖춘 베테랑 정즈를 중심으로 하오준민과 왕용포를 함께 세웠다. 하오준민은 왕성한 활동량을, 왕용포는 강력한 슈팅력을 자랑하는 미드필더다.

빠르고 뛰어난 개인기량을 갖춘 스리톱과 그 밑에서 지원을 하는 균형잡인 중원 구성, 이는 리피 감독이 중국 슈퍼리그 광저우 헝다를 이끌 당시 선보였던 전술과 일맥상통했다. 리피 감독은 헝다를 이끌고 세 시즌 연속 슈퍼리그 우승과, 2013년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뤄냈다.

탄탄한 포백은 리피 감독 전술의 핵심이었다. 골키퍼 정청을 비롯, 중앙 수비 펑샤오팅, 메이팡 그리고 오른쪽 풀백 장린펑 등 4명의 헝다 선수가 수비라인에 포진해 완성도 높은 조직력을 선보였다. 여기에 정즈까지 적극적으로 협력 수비를 하면서 빈틈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인 주도권은 한국이 쥐었으나 실속은 중국이 챙겼다. 한국의 약점으로 지적됐던 수비 뒷공간을 지속적으로 노렸다. 리피 감독다운 집요함이 엿보였다. 연거푸 오프사이드 트랩에 걸렸지만 개의치 않았다.

역습도 빠르고 간결했다. 전반 28분과 33분 각각 위다바오, 장린펑의 슈팅이 나오더니, 34분 왕용포의 코너킥을 위다바오가 헤딩으로 틀어넣으며 선제골을 터뜨렸다. 리피 감독은 웃지 않았다. 기뻐하는 코치들을 진정시켰다.

끝까지 냉정함을 유지한 리피 감독. 한국의 거센 추격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짧은 기간 자신의 색깔을 입히며 한국에 일격을 가했다.


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