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학범호 코칭스태프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이 열리기 전부터 수비불안이란 약점을 이미 알고 있었다. 풀백 부재와 조직력을 형성할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논란이 발생하더라도 와일드카드(23세 초과 선수) 한 장을 골키퍼에 배정한 이유이기도 했다.
|
또 실점 장면에서 상대 공격수보다 수비수가 더 많았다. 수적 우위를 점했는데도 우즈벡 공격수에게 맥을 추지 못했다는 건 수비조직력 자체가 엉성하다는 얘기다. 유기적인 모습은 온데 간 데 없었다. '섬' 같았다.
게다가 우즈벡전에선 체력소모가 심했다. 경기 시간이 흐를수록 선수들의 발이 무뎌지고 수비 전환이 힘든 모습이 역력했다. 자연스럽게 미드필드와 수비진 간극이 넓어져 우즈벡이 쉽게 페널티박스 근처까지 쉽게 도달해 위협을 펼칠 수 있었다. 체력이 뚝 떨어진 미드필더들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포백라인의 기본적인 수비력으로 버텨줘야 한다.
'공격이 좋으면 승리를 할 수 있지만 수비가 좋으면 우승을 할 수 있다'는 축구계의 속설을 베트남과의 4강전을 앞두고 다시 한 번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 김진회 기자 manu35@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