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1일(한국시각), 한국과 대만의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 여자축구 동메달 결정전이 펼쳐진 인도네시아 팔렘방 겔로라 스리위자야 경기장.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사상 첫 결승 진출을 노렸다. 태극낭자의 아시안게임 최고 성적은 2010년 광저우와 2014년 인천에서 기록한 3위였다. 일본, 중국, 북한 등 여자축구 강국이 즐비한 아시아 무대는 월드컵만큼이나 어려운 곳이었다.
선수들은 이를 악물었다. 분위기도 나쁘지 않았다. '황금세대'로 불렸다. 조소현 전가을 심서연 등 주축 선수들이 건재했다. 에이스 지소연과 뉴에이스 이민아의 기량은 물이 오를 대로 올랐다. 여기에 장슬기 이금민 등 어린 선수들의 성장은 눈부셨다. 하지만 이번에도 결승의 벽은 높았다. 한국은 지난 28일 치른 일본과의 4강에서 1대2로 석패, 고개를 숙였다. 당시 선수들은 그라운드에 주저앉아 눈물을 흘렸다. 얼굴에는 아쉬움이 가득 묻어났다.
동메달을 목에 건 한국 여자축구,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이 많이 남아있다. 한국은 지난 4월 요르단 암만에서 펼쳐진 2018년 요르단여자축구아시안컵에서 5위를 기록, 사상 첫 2연속 월드컵 진출을 확정했다. 2003년 미국월드컵, 2015년 캐나다월드컵에 이어 역대 세 번째 2019년 프랑스월드컵에 나선다. 목표도 명확하다. 캐나다 대회에 이어 2연속 16강 진출.
태극낭자의 도전은 아시안게임에서 멈추지 않는다. 3연속 아시안게임 메달을 거머쥔 한국 여자축구는 더 큰 무대를 향해 다시 한 번 도약한다.
자카르타(인도네시아)=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