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아인(아랍에미리트)=박찬준 기자]불안하다. 두 경기 모두 현장에서 지켜본 솔직한 심정이다.
이쯤되면 초반 두 경기는 낙제를 줄 수 있다. 59년만의 아시안컵 우승에 이르기 위해서는 초반 부진을 빠르게 자리 잡아야 한다. 냉정하게 벤투 감독의 전략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벤투식 축구에 대한 선수들의 신뢰는 절대적이다. 이청용(보훔)은 "완전히 내려선 팀을 상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최대한 공을 가지고 지쳤을때 노리는게 최선의 방법이다. 그래서 감독님의 전술에 만족한다. 당연히 점유율이 높은 팀이 유리하다"고 했다. 정우영(알사드)도 "상대가 내려서든, 압박하든 우리의 축구는 달라지지 않는다. 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자신의 스타일과 철학이 지나치게 매몰된 느낌을 줄때가 있다. 그라운드는 생물이다. 온갖 변수와 변화가 공존한다. 한가지 방법으로 절대 상대를 제압할 수 없다. 패싱게임으로 세계를 호령했던 스페인도, 바르셀로나도 그들의 시대를 접어야 했다. 그래서 다양한 옵션이 중요하다. 때로는 길게 때려넣는 것이 효과적일 때가 있다. 철학과 스타일을 바꾸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상대가 예측할 수 없는 다른 옵션도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한가지 더, 1, 2차전 모두 전반 보다는 후반의 경기력이 더 좋았다. 선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선수 교체 후 경기력이 확 달라졌다. 빠른 대처에 대해 칭찬을 보낼 수도 있지만, 다르게 해석하면 벤투 감독의 첫번째 플랜이 잘 맞아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로도 볼 수 있다. 특히 두 경기 연속 선발로 나선 구자철(아우크스부르크)와 정우영의 기용은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두 선수는 전체적으로 팀의 템포를 떨어뜨리고 있다. 필리핀전은 이청용, 키르기스스탄전은 주세종(아산)이 들어간 뒤 분위기가 바뀌었다.
vanbasten@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유소년 스키육성캠프'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