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숫자로 확인한 2019 K리그 흥행, 입장수입 39% 'UP' 객단가도 'UP'

기사입력 2019-12-31 15:21


20일 오후 서울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K리그1 22라운드 서울 FC와 전북 현대의 경기가 열렸다. 흐린 날씨에도 많은 축구팬들이 경기장을 찾아 관전했다. 상암=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9.07.20/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2019년 K리그가 '대박'을 쳤다는데, 대체 얼마나 흥행한 걸까.

한국프로축구연맹이 31일 발표한 2019시즌 K리그 전체 수입과 평균 객단가를 보면 K리그가 일으킨 돌풍이 피부에 와닿는다. 1부에 해당하는 K리그1 전체 입장수입은 162억3372만8556원으로, 전년 116억3859만8469원에서 약 39.5% 증가했다. 2014시즌 입장수익 84억945만1673원의 두 배에 육박한다. K리그 전체 입장수입을 집계한 2013시즌 이래 오르고 내리길 반복하다 올해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K리그2 전체 입장수입도 30억9959만7503원으로 2018시즌의 26억6896만8150원에 비해 약 16.1% 증가했다.

구단별로는 FC서울이 가장 많은 38억8430만900원을 거둬들였고, 대구FC(22억2325만9550원) 수원 삼성(21억7684만7500원) 전북 현대(19억8999만7099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남 드래곤즈가 K리그2 최다인 7억3686만4100원을 벌었다.

객단가로 살펴도 지난시즌은 '역대급'에 가까웠다. 객단가는 관객 1인당 입장수입을 뜻한다. 시즌 전체 입장수입에서 실제로 경기를 관람하지 않은 시즌권 소지자의 티켓 구매금액을 차감한 후 이를 시즌 전체 유료관중수로 나누는 방식으로 산출한다. K리그1 12개 구단의 평균 객단가는 전년 대비 약 6.5% 증가한 7800원. 이 역시 2013년 객단가 집계 이래 최다치다. K리그1 객단가는 2015시즌부터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K리그2의 평균 객단가는 3275원이며, FC안양이 4863원으로 가장 높은 객단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맹은 ▲K리그1, 2 합계 약 237만명의 관중을 불러모은 흥행 호조 ▲2018년부터 유료관중만을 공식관중으로 집계하는 등 연맹과 각 구단이 꾸준히 추진해 온 유료관중 증대 정책의 효과 ▲좌석별 티켓가격을 다양화하고 시즌권 판매를 늘리는 등 입장수입 증대를 위한 구단들의 노력 등을 최다 입장수입을 기록한 이유로 분석했다.

K리그는 지난시즌 대비 51.3% 늘어난 총 237만 6924명의 관중이 찾아 소위 대박을 터뜨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총 22개 구단 중 21개 구단의 관중이 증가했다. K리그의 흥행 돌풍이 리그의 수익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셈이다.

K리그1 연도별 입장수입 및 객단가

연도=입장수입=객단가


2013=107억1493만2002원=3708원

2014=84억945만1673원=3459원

2015=110억3377만원=4775원

2016=131억1849만3969원=5742원

2017=109억5971만9971원=6162원

2018=116억3859만8469원=7326원

2019=162억3372만8556원=7800원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