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지난해에는 빵점이었으니까, 올해는 30~40점은 줄 수 있지 않을까요."
여기에 전력이 평준화되며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김 감독은 "10승 정도면 안정권이라고 생각했는데, 하위권 팀들의 승점차가 크지 않아서 힘들었다. 선수들이 멘탈적으로 힘들 수 있었는데 잘 넘겨줬다"고 했다.
고비는 8월이었다. 성남은 휴식기였던 7월 강원 고성으로 전지훈련을 다녀왔는데, 그만 여기서 집단 감염이 발생했다. 자가격리를 마친 후 빡빡한 일정이 이어졌다. 단순 자가격리가 아닌 감염자 발생이었던만큼, 컨디션 조절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가뜩이나 선수층이 얇은 성남이었다. 김 감독은 "이때 솔직히 멘붕이 왔다. 격리 하고, 경기도 많고, 특히 원정경기가 몰려 있었다. 아예 훈련 스케줄을 짜기도 어려울 정도였다. 다행히 선수들이 잘 넘겨줬다"고 했다.
김 감독은 올 시즌 자신의 점수에 대해 "30~40점"이라고 했다. '빵점'이라고 했던 작년에 비해 나아진 점수다. 프로 감독으로 2년이라는 시간, 특히 그 시간 동안 강등의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며 '감독' 김남일은 한단계 성장했다. 김 감독은 "아직 한참 멀었다. 할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작년과 비교해 더 유연해진 것 같다. 경기 중 변수에 대한 대처도 조금 나아진 것 같다. 선수들과 관계에서도 다그칠 때, 끌고 갈 때 그런 타이밍을 배웠다"고 했다. 다만 "올해 목표를 애매하게 정한게 아쉬웠다. 단지 순위를 올리는게 목표라고 했는데, 확실하게 하는게 목표의식 면에서 나은 것 같다"고 반성했다.
아직 시즌이 끝나지 않았지만 김 감독의 시선은 벌써 내년을 향하고 있다. 김 감독은 "내년에는 개막이 평소 보다 빨라졌다. 가보지 않은 길이라 걱정도 된다. 잔류를 했지만 팬들에게는 항상 죄송스럽다. 올해는 영입부터 득점 부분에서 해소할 수 있도록 더 공격적인 선수를 데려올 생각"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내년에는 비슷한 팀들이 더 늘어나고, 강등되는 팀수가 늘어난다. 더 힘든 시즌이 될 것 같다"며 "하지만 늘 그랬던 것처럼 치열하게 싸워야 할 것 같다"고 각오를 다졌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