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막혔던 득점혈까지 뚫었다.
문제는 마무리였다. 강팀을 상대로도 밀리지 않으며, 과정을 잡았지만, 결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앞선 3경기에서 단 1골만을 넣었기 때문. 이정효 감독은 자신의 축구를 "골을 넣으려는 축구"라고 정의했지만, 정작 골이 터지지 않았다. 기대득점값도 3경기에서 2.51 밖에 안됐다. 경기당 1골도 넣기 힘들었다는 뜻이었다. 3라운드까지 유효슈팅은 단 7개로, 12개 팀 중 뒤에서 두번째였다.
이 감독은 지난 전북전 0대2 패배 후, "나는 소신을 꺾을 생각이 없다"며 대신 "득점을 위한 훈련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이 감독은 파이널 서드 근처에서 패턴을 통한 마무리 작업에 많은 공을 들였다. 인천전에서 이는 멋지게 통했다. 전반 8분 아사니의 첫 골은 왼쪽에서 멋진 패턴 플레이로 만들어졌고, 19분 터진 엄지성의 두번째 골은 광주의 장점이 완벽히 드러났다. 전방 압박을 통해 볼을 뺏은 뒤, 여섯번 동안 유의미한 패스가 이어진 후 컷백을 통해 득점이 만들어졌다. 무각에서 득점을 만든 엄지성의 센스도 빛났지만, 이전까지 보여준 과정이 인상적이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