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여름철 서민층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한시적인 전기요금 인하정책을 내놨지만 정작 혜택은 부유층이 누리게 될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이채익 새누리당 의원실이 한국전력공사에서 제출받은 '주택용 전력 하계할인 사용요금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7∼9월 석 달간 발생하는 총 1천300억원의 전기요금 할인액 가운데 27%에 해당하는 350억원 이상이 상위 6% 미만인 월 401kWh 이상 전력 소비계층에 돌아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7∼9월 3개월간 4구간 사용자에 한해 3구간과 동일한 요금(기본요금+전력량요금)을 적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주택용 전기요금 경감 방안을 지난달 발표했다.
평소 2∼3구간의 서민층이 여름철 냉방 때문에 4구간 이상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늘어나는 전기요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부가 서민층이라고 밝힌 4구간 전력 사용자보다 5·6구간 사용자에 더 많은 전기요금 인하 혜택을 주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이번 정책의 골간인 전력량요금 할인이 사실상 누진구간별 사용자에 상관 없이 300∼400kWh 사이 사용분에 한해 사용량(0∼100kWh)에 비례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정책의 주요 수혜 대상이라고 밝힌 4구간 전력 사용자는 월 2천250원 기본요금 할인과 함께 300∼400kWh 사이 사용분에 대해 사용량에 따라 92원∼9270원의 전력량요금 할인을 받게 된다. 5·6구간은 모든 사용자가 300∼400kWh 사이 사용분 100kWh 전부에 대한 9270원의 전력량요금 할인을 받는다.
4구간 일부 사용자(376∼400kWh)를 제외하면 5·6구간 사용자들에게 돌아가는 할인 금액이 더 커지게 된다.
이 의원은 "정부가 서민층을 위한 정책이라며 전기요금 인하 정책을 내놨으나 실상은 전력 소비량이 많은 부유층을 위한 정책이나 다름없다"며 "전력예비율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전력 과소비를 유도해 전력난을 초래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