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소득 기준 빈곤율 1위인 한국 노인들이 자산을 기준으로 한 빈곤 상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2011년 국민생활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산과 소득 수준을 분석한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의 통합 분석 및 함의' 보고서를 24일 공개했다.
소득은 하위 40%에 속하지만, 재산은 상위 40%에 포함된 '소득빈곤-재산부유' (income-poor, property-rich)의 비중은 75세 미만 독거노인의 14.0%, 75세 이상 독신노인의 10.5% 수준으로 낮았다.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34.0% 수준으로 그나마 높았지만 3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보고서는 특히 소득이 높은 가구가 재산수준도 높고, 소득이 낮은 가구는 재산수준 역시 낮은 '소득과 재산의 동행화(同行化)'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75세 미만 독신노인의 가처분소득과 순재산 사이의 상관계수(높을수록 상관관계 높음)는 2003년 0.285, 2011년 0.357로 높아졌으며 같은 기간 75세 이상 독신노인 역시 0.205에서 0.342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한국 노인의 상대적 재산수준은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할 때 낮은 편에 속한다"며 "재산의 세대간 이전이 노년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소득빈곤율이 높은 노인집단의 자산 활용 가능성은 열려있지만 효과가 생각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