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기업 중소기업 임금 격차 역대 최고

기사입력 2016-03-01 17:55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 격차가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통계청과 고동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시근로자가 300인 이상인 사업장의 상용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501만6705원으로 전년보다 3.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상시근로자 5∼299인 사업장의 상용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311만283원으로 3.4%가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은 대기업, 5∼299인은 중소기업, 5인 미만은 영세 자영업자로 구분된다.

지난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대기업 대비 62.0%를 기록했다. 대기업 임금이 100만원일 때 중소기업 임금은 62만원이란 얘기다. 이 같은 수치는 통계가 시작된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09년 65%였던 비율은 2010년 62.9%, 2011년 62.6%로 떨어졌다. 2012∼2013년엔 64.1%로 조금 올랐지만 2014년 62.3%로 하락하고서 지난해 62%기록했다. 대기업-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은 글로벌 경기불황과 맞물려 국내 경기가 좋지 않아졌기 때문이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전에는 대기업과 비교한 중소기업의 임금이 80% 수준이었는데 최근엔 60% 초반 대까지 떨어졌다"며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경영환경 변화를 크게 받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급여 지급 능력이 악화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구조적으로는 대기업의 독점력이 커지면서 생긴 하도급대금 후려치기, 인력 유출 등 불공정 관행이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을 막은 중요한 요인이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를 특히 크게 벌리는 요소는 정액급여(기본급)보다는 초과근로수당과 성과급 등 특별급여다. 기본급만 따지면 중소기업 임금이 대기업의 75% 수준이지만 초과·특별급여를 합치면 상항이 달라진다는 게 이유다. 일례로 지난해 대기업 근로자는 월평균 임금의 31.5%(158만원)를 초과·특별급여로 받았다. 기본급은 68.5%(344만원)를 차지했다.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 임금에서 초과·특별급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17.1%(53만원)에 불과하다. 노 연구위원은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결국 중소기업의 성과급을 현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핵심인력 성과보상금' 제도처럼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성과 공유 모델을 더 활성화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