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구운 고기 많이 먹으면 ‘저체중아 출산 위험↑’

기사입력 2016-04-19 14:24


임신중 구운 고기 많이 먹으면 '저체중아 출산 위험↑'

임신 중 여성이 불에 직접 구운 고기를 많이 먹으면 저체중아를 낳을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 원인으로는 높은 온도의 불판이나 불꽃, 기름에 직접 접촉하면서 고기를 조리할 때 나오는 발암성 유해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가 지목됐다.

18일 인하대 사회의학교실 임종한 교수팀은 서울대, 이화여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2006년부터 2011년 사이에 임신 12~28주였던 778명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벌여 임신 중 고기 섭취가 출산 후 아이의 체중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임신 기간 바비큐와 튀김, 훈제 등 형태로 고기를 먹는 양과 빈도에 따라 9단계 그룹으로 나누고, 고기를 아예 먹지 않은 그룹과 출산 직후 아이의 몸무게를 비교했다. 임신부가 먹은 고기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생선 등이 모두 포함됐다.

전체적으로는 조사 대상자 중 52%가 임신 중에 다량의 PAHs가 배출될 수 있는 형태로 고기를 섭취했는데, 섭취 빈도는 '거의 안 먹는다'(1단계)거나 '1개월에 1차례'(2단계)에서부터 '하루 3차례'(9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분석결과를 보면 1단계 그룹 사이의 아이 몸무게 차이는 17.48g이었다. 다시 말하면 높은 온도에서 고기를 직접 익혀 먹는 양과 빈도가 1단계 높아질수록 아이의 몸무게는 17.48g 적었다는 얘기다.

전체적으로는 직화 고기를 임신 기간에 전혀 먹지 않은 임신부와 하루 3차례 이상으로 많이 먹은 임신부가 낳은 아이의 체중 차이는 최대 174g에 달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가 고온에 고기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PAHs에 기인하는 것으로 봤다. PAHs는 탄수화물, 단백질 등이 불완전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100가지 이상의 화학물질을 일컫는다.


대표적인 게 국제암연구소(IRAC)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벤조피렌이다.

임종한 교수는 "태아 몸속에 이들 유해물질이 전달되면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거나 신체 성장 자체를 방해시킵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임신 기간 중 단백질 섭취는 꼭 필요한 만큼 고기는 직접 불에 조리하는 대신 삶거나 쪄 먹는 게 태아 건강에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공중보건 분야 국제학술지(Public Health Nutri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스포츠조선닷컴>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