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철 정성만김밥 대표는 외환위기(IMF) 전까지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생계를 위해선 개인사업을 해야만 했다. 그는 처음 편의점 사업을 시작했지만 사업은 신통치 않았다.
그때 택한 게 김밥이다. 김 대표는 "편의점을 하며 간편식 시장의 성공 가능성을 보고 무작정 김밥이 맛있는 집들을 찾아가 일을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6개월 정도 일하면서 재료 고르는 요령과 손질, 고객 응대, 주방 등을 배웠다"고 말했다.
"2~3달 전국을 돌았어요. 김밥 맛집이라고 소문난 곳은 제주도를 포함해 전부 가봤죠. 맛을 보면서 그 집의 장점이 무엇인지, 소비자의 트렌드는 어떤지 등을 파악하려고 노력했어요." 정성만김밥이 만들어 진 배경이다.
김밥하면 떠오르는 단무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국내산 무를 직접 절여 사용한다. 먹고 나면 깔끔하다는게 고객들의 평가다. 여기에 숯불의 향을 담은 숯불직화구이김밥 등 독특한 메뉴도 만들었다. 2014년 11월 서울 도곡역 인근에 오픈한 매장은 대치동 김밥 맛집으로 평가받으며 소셜네트워크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1년여 동안 도곡역점을 직접 운영한 그는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프랜차이즈 사업에 뛰어들었다.
김 대표는 "외식업의 기본은 음식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초심"이라며 "예비창업자라면 처음 음식점을 오픈했던 당시의 맛을 유지하겠다는 초심을 끝까지 가져가야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