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며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가계와 중소기업에게는 높은 은행들의 대출문턱이 대기업에게만 한 없이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3월말 기준 산업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는 8조6000억원, 수출입은행은 4조2000억원, NH농협은행이 4조원에 달한다.
연일 문제점이 폭로되고 있는 산업은행의 경우 1년 만에 부실채권 규모가 5조원 넘게 폭증하며 은행권의 부실채권 증가에 압도적인 기여도(?)를 보였다. 산업은행의 전체 여신(빌려준 돈) 가운데 부실채권(되돌려 받기 힘든 돈) 비율은 6.7%로 1년 새 4%이상 늘었다.
다른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1%대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3개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지적이다.
이들 3개 은행 다음으로 부실채권 금액이 높은 은행은 우리은행(3조원), 기업은행(2조6000억원), 하나은행(2조5000억원), 국민은행(2조4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부실채권 비율로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NH농협은행의 뒤를 이어 수협은행이 1.76%, 기업은행 1.43%, 우리은행 1.38%, 전북은행 1.35% 순이다.
조선업 전반은 물론 다른 취약업종까지 구조조정이 확산될 경우 이들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도 상승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특히,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조선사들 여신을 '정상'으로 분류해 충당금을 거의 쌓지 않은 상태여서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수익성은 더 크게 나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