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무제한 가입 이용자 40%이상 '무제한' 불필요

기사입력 2016-06-20 11:07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가입자중 40%이상의 기본 제공되는 데이터량보다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의 데이터 소비패턴을 제대로 분석만 한다면 요금제 변경을 통해 통신비 절약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2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신증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현재 4세대 이동통신 LTE 가입자는 4293만명이다. 이중 20%인 838만명은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다. 무제한 요금제란 이동통신3사가 선보인 데이터요금제 중 5만9000원(VAT 불포함) 이상의 상품을 말한다. 기본 제공되는 LTE 데이터를 모두 소진하면 느린 속도로 인터넷을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무제한 요금제로 통한다.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를 분석하면 LTE 가입자 1인의 한 달 평균 데이터 소비량은 4.3GB이며, 무제한 가입자의 소비량은 15.6GB다. LTE 가입 상위 1% 다량이용자(헤비유저)의 트래픽은 77.0GB(1인당), 상위 5%는 39.0GB, 상위 10%는 26.7GB다. 10∼20% 구간 이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은 4.4GB이다. 이통3사의 무제한 요금제는 대부분 기본료 5만9000원, 6만9000원, 8만원, 10만원으로 구분돼 있다. 각각 데이터 기본 제공량은 11GB, 16GB, 20GB, 35GB가량이다.

기본 데이터가 최소 11GB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위 10% 이용자는 데이터 소진율이 100% 훨씬 넘지만, 10∼20% 이용자는 소진율이 40%로 낮아진다. 무제한 요금제 이용자 838만명 중 400만명 가량은 비싼 무제한 요금제를 쓸 필요가 크지 않고, 요금제를 한 단계 낮추면 통신비를 줄일 수 있는 셈이다.

이통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판단을 통한 데이터 요금제 변경을 통해 통신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 대부분이 동영상·방송 시청, 게임, 음원 스트리밍이 늘어나 데이터 요금의 청구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인 사용패턴 분석을 바탕으로 요금제 선택을 하는게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