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대 남성 한모씨는 일란성 쌍둥이 동생과 전화 통화를 자주 한다. 무뚝뚝한 여느 남자 형제들과 달리, 시시콜콜한 의논도 하는 편이라 주변에서 "자매처럼 지낸다"는 농담을 할 정도다. 그런데, 한씨는 장수를 기대해도 될 것 같다. 최근 한씨처럼 스스럼없이 의지할 상대가 있는 남성이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들이 최근 잇달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것이 '결혼 효과'다. 부부가 함께 생활하면 혼자 사는 사람보다 장수한다는 연구결과가 여럿 있다. 그런데, 이런 영향도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받는다. 보험연구원이 지난 2010년의 국내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아내와 사별한 남편의 사망률은 아내와 함께 사는 경우보다 '4.2배' 높았다. 남편과 사별한 아내의 '2.8배' 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남성은 노년기에 혼자 살게 되면 여성보다 생활 관리를 제대로 못 하고 고립감도 더 크게 느끼면서 건강을 해치기 때문이다. 나해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여성은 찜질방이나 미용실에서 우연히 만나도 금세 친해지는 등 사회적 관계를 쉽게 맺고 폭도 넓다"면서 "반면에 남성은 친구나 직장동료 외에 새로운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고, 나이가 들수록 더 힘들어진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장수하려면 어릴 때부터 준비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