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보험은 물론, 적금까지 깨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적금 중도해지 비율은 2014년 44.5%에서 지난해 42.6%로 낮아지지는 듯했지만 올해 들어 45.2%로 다시 높아졌다. 2014년 전체 적금 해지 건수는 약 769만4000건으로, 이 가운데 중도해지는 342만2000건이었다. 지난해에는 약 777만건 중 331만1000건이 중도해지 됐다. 올해는 9월까지 전체 해지 건수 약 573만8000건 중 259만2000건으로 비중이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가계는 경제사정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될 때 보험을 먼저 해약하고 이후 펀드 납입 중단, 적금 해약 순으로 금융자산을 정리한다. 보험은 납입 기간이 긴 반면 실질적인 혜택이 뚜렷하지 않고, 펀드는 자산증식의 목적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최후에 정리하는 것이 가계의 '보루'인 적금이라는 설명이다.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41개 생명·손해보험사가 고객에 지급한 해지환급금은 14조7300억원에 달한다. 2014년에는 26조2000억원, 지난해에는 28조3000억원대까지 치솟았다. 이 같은 보험업계의 총 해지환급금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22조9000억원을 넘어선 규모다. 업계는 올해 역대 최고액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보험' 해지 추세가 '적금'으로 옮겨갔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적금 중도해지 비율이 늘어난 것은 그만큼 가계의 경제 상황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