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9곳 3분기 누적 매출채권 25조7800억원…신용등급 저하 우려

기사입력 2016-12-20 14:39


국내 대형 건설사 9곳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누적 매출채권이 총 25조78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매출채권이 건설사들의 신용등급을 저하시킬 위험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이 기간 누적 매출채권은 6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다.

뒤이어 GS건설(4조858억원), 대우건설(3조476억원), 대림산업(2조9957억원) 등의 순이다.

매출채권은 미청구공사 대금과 공사미수금을 합한 개념으로, 건설사가 제공한 용역에 대한 대가로 발주사가 약속한 금액이다.

또한 미청구공사 대금은 건설사가 일정 지연 등으로 발주처에 청구하지 못한 돈을 의미한다.

미청구공사 대금의 증가는 해외건설 공사, 특히 중동지역 건설사업 리스크가 여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형 건설사들이 보유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미청구공사가 대부분 중동 현장에 집중돼 있어서다.


대부분이 산유국인 중동 지역은 저유가로 재정 여건과 사업 환경이 악화된 상태다. 일부 프로젝트는 준공이 지속적으로 지연되면서 미청구공사액만 증가했고, 미청구공사액이 공사 계약금액의 30%를 넘는 곳도 있었다.

아울러 주요 건설사의 매출채권이 증가하면서 연간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 비중도 과도하게 커지고 있다.

이 비중이 25~30%를 넘으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간주되고, 회수하기 어려운 채무도 그만큼 많아졌다는 뜻이어서 신용위험도가 높아진다.

9개 주요 건설사의 올해 평균 누적 예상 매출액(연 환산 매출액) 대비 3분기 기준 매출채권 비중은 35%로 집계됐다.

이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한화건설로 66% 수준이다. 받지 못하고 있는 공사대금이 연간 매출의 절반을 넘는 셈이다.

GS건설과 롯데건설의 매출채권 비중도 각각 38%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현실을 반영해 신용평가사들은 내년도 건설업계에 대한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