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된 경기 불황으로 실업률이 5.0%를 기록해 7년여 만에 최악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실업자 수는 135만명으로 2월 기준 역대 최대치로 나타났고 제조업 취업자 수도 8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실업자 수는 135만명으로 199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2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실업자는 50대, 40대에서 감소했지만 60세 이상과 30대를 중심으로 증가해 1년전보다 3만3000명 증가했다.
실업률은 5.0%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0년 1월 5.0%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월 기준으로는 2001년 2월 5.5%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실업률은 25∼29세, 50대 등에서 하락했지만 60세 이상과 20∼24세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특히 청년실업률은 12.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지만 199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21만3000명 늘어나며 7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연로(3만명), 쉬었음(2만9000명), 가사(2만명) 등에서 증가했지만 육아(9만명), 재학·수강(1만9000명) 등에서 감소해 1년 전보다 4만5000명 감소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자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2.3%로 1년 전과 같았다.
고용률은 59.1%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6%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통계청은 고용률, 실업률이 모두 높아진 것에 대해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