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노출의 계절을 맞아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제모를 많이 하고 있지만 피부염이나 화상 등 부작용이 빈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제모제를 사용하던 중에는 화학성분에 의한 '피부염·피부발진'(47.6%·20건)이 주로 생겼다. '레이저 제모' 피해 대부분은 '화상'(77.6%·45건)이었다.
'제모왁스'를 피부에 붙였다 떼는 과정에서 피부 박리 등 '피부·피하조직 손상'(56.0%·14건)이 많이 발생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66.3%(61건)로 남성(33.7%·31건)의 두 배 가량이었다.
특히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30대' 비중이 79.3%(73건)였다.
제모 부위로는 인중·턱수염·이마 등 얼굴이 37.5%(30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다리 27.5%(22건), 겨드랑이 12.5%(10건) 등 순이다.
한국소비자원은 개인의 피부나 털의 특성을 고려해 제모 방법을 선택하되, 민감성 피부인 경우에는 피부과 등 전문의와 반드시 상의하고 제모제나 제모왁스 사용 전 패치 테스트를 해 부작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