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25일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KT그룹인력개발원 원주연수원에서 재난안전 분야에 특화된 '스카이십 플랫폼'을 공개했다. 스카이십 플랫폼은 스카이십(Skyship), 스카이십 C3 스테이션(Skyship Command,Control&Communication Station)을 중심으로 세부 임무 수행을 위한 스카이십 드론(Skyship drone), 스카이십 로봇(Skyship robot)으로 구성된다.
스카이십 팟은 프로펠러 추진체, 통신모듈, 고해상도ㆍ열화상 카메라, 임무 수행 드론을 탑재하는 트렁크를 포함한다. 스카이십 팟은 부착되는 통신모듈과 카메라 등의 하드웨어 요구사항을 규격화해 특정 제조사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3rd Party 모듈을 탑재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스카이스캔은 LTE/5G 통신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폰 신호 기반의 조난자 탐색 솔루션으로, 재난 지역에서 탐색 임무를 수행한다. 스카이스캔은 초소형 LTE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휴대폰 시그널링 메시지를 검출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반경 50m 이내의 조난자 유무를 파악해 수색 범위를 좁힐 수 있어 초반 구조 작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재난 상황 대응에서 핵심요소는 '통신'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잘 갖추어진 '통신망'이 있다면 이를 기반으로 육ㆍ해상의 입체적 재난 대응이 가능하고 신속한 상황전파로 긴급 구조 상황에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KT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요구사항인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별화된 네트워크 인프라와 운용역량을 갖추고 있다. KT가 전국에 보유한 68만km의 광케이블 중 약 80%의 구간이 지중화되어 있어 시설물 폭발,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도 통신 시설 피해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KT는 지난 수년 간 국민의 안전을 위해 선보여 온 재난안전 관련 기술 역량과 스카이십 플랫폼, 주파수 경매를 통해 확보한 3.5GHz대역의 100MHz 주파수와 28GHz대역의 800MHz 주파수를 기반으로 국내 최대의 초광대역 5G 상용망을 구축해 2020년까지 더 빠르고 안전한 '5G 네트워크 기반의 재난안전 플랫폼'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수년 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 안전 분야의 기술을 선도해왔다"며 "KT만의 차별화된 ICT 기술력과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데 앞장 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