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보합세를 보인 반면 토지가격의 상승세는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과 서울거주자의 원정거래 비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거주자의 외지 거래 비율이 2015년 이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전국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 중 서울거주자의 비율은 10.4%로 2015년 9.54%보다 0.86% 포인트 증가했다.
이와함께 서울거주자의 외지 토지 원정투자 비율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6월 기준 전국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 중 서울거주자의 비율은 10.4%로 지난해 10.17% 대비 0.23%포인트 증가했다. 2015년 9.54%를 기록한 이후 매해 서울거주자 거래비율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또한 서울을 제외한 15개 광역자치단체 중 인천·경기·충남을 제외한 12개 광역자치단체가 전년보다 서울거주자의 순수토지 거래 비중이 증가했다.
서울거주자의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비중 증가는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지방에서도 뚜렷하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 수요억제책 완화 및 조정지역 규제해제 요구가 커지고 있는 부산은 2015년 2.12%에서 2018년 6월 5.19%로 2배 이상 서울거주자의 토지 원정거래가 증가했다.
이는 전국에서 주택 미분양 재고가 가장 많은 경남(6월 기준 1만4896세대)도 마찬가지다. 2016년 2.52%였던 경남의 순수토지 서울거주자 월평균 거래비율은 올해 들어 3.29%로 원정거래비율이 확대됐다.
올해 서울거주자의 외지 토지 원정거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6월 기준 20.83%로 10필지 중 2필지는 서울에 거주하는 외지인이 거래한 셈이다. 이어 강원(15.94%)과 인천(15.35%), 세종(11.34%), 대전(10.37%)이 뒤를 잇고 있다.
직방의 함영진 빅데이터랩장은 "토지는 주택·상가 등 건축물의 토대가 되는 원재료 역할을 한다"면서 "대출·세금·청약 등 정부 수요억제책의 집중포화와 입주물량 증가 등 공급과잉 우려를 빚고 있는 주택시장과 달리 탄탄한 거래량과 서울의 외지인 수요가 꺼지지 않는 등 토지투자 온기가 여전하다"고 밝혔다. 이어 "풍부한 유동자금과 대북경협 호재, 도시재생 뉴딜, 택지개발로 인한 토지보상금 유입 등 지역의 개별호재에 민감한 원정투자가 아직 유효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