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임플란트 제조기술과 치료능력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크게 발전해있다. 연령에 관계없이 임플란트를 했다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시술 사례도 많아지고 대중화가 되었다. 그렇다고 치료방법 자체가 쉬워진 것은 아니다. 잇몸을 절개해 뼈에 구멍을 뚫어 고정해야 하는 만큼 치주조직에 대한 지식과 외과적인 수술 능력, 보철에 대한 전문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고난이도 치과 치료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임플란트는 기본적으로 잇몸뼈에 금속 나사를 고정하기 때문에 환자 잇몸뼈의 상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환자 입장에서는 눈앞의 저렴한 비용을 우선시하기 보다는 뼈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여 제대로 된 시술을 할 수 있는 지를 꼼꼼히 알아봐야 한다.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 입장에서 생각해 보아도 보강해야 할 뼈의 양이 적은 경우보다 많을 때 수술의 난이도가 높다는 예상은 누구나 할 수 있듯이 실제 뼈가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의 환자에게 충분한 잇몸뼈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병원은 손에 꼽을 만큼 적다.
뼈가 부족한 양이 많은 경우 외에도 결손부가 보호받기 어렵고 외부자극에 개방된 형태인 상황에도 수술 난이도가 높아지고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잇몸뼈의 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뼈를 충분히 만들어 내 본 경험이 있는 의료진의 명확한 치료계획이 선행되어야 하며, 골형성 기간 동안의 환자의 협조가 뒷받침해주어야 그 결과가 성공적일 수 있다. 환자의 잇몸뼈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여 어떤 방법으로 뼈를 만들어 낼지 외부의 방해요소에 최대한 대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 내고 집도하는 것이 의사의 몫이라면, 수술 후 이식부의 보호를 위한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켜주는 것이 환자의 치료 협조라고 볼 수 있다.
반죽된 묽은 시멘트가 단단히 굳어지기 전에 밟히거나 흔들리면 울퉁불퉁하게 굳거나 쉽게 부서지는 것처럼 골형성이 성공하려면 이식부의 고정과 안정이 기본바탕이 되어야 한다. 쉽게 말해, 절대 건드려지고 눌리는 자극을 받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수플란트 치과병원 김선영 대표원장은 "많이 망가진 잇몸뼈를 정상에 가깝게 만드는 것은 가능하나 치료 기간이나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충분히 건강할 때부터 잘 관리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잇몸뼈가 한번 망가졌던 환자는 만들어낸 뼈도 다시 망가질 가능성이 크므로 구강관리습관을 자체를 개선해야 하고, 치과 정기검진을 통해 꾸준히 관리해야 건강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명절 부모님을 위한 임플란트, 제대로 잘 할 수 있는 병원을 선택하고 치료 기간 중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켜 성공적으로 치료를 마무리하고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잘 관리 해준다면 건강하게 오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심하자. <스포츠조선 medi@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