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장암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대장내시경 검사의 중요도가 부각되고 있다.
서구화된 식습관, 붉은 육류 섭취는 대장암 발병을 부추기는 위험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불규칙한 생활 패턴, 과음, 스트레스, 가족력 역시 원인이 될 수 있겠다.
다행인 것은 대장암은 다른 암에 비해 비교적 확실한 예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대장암의 85%이상은 대장용종이 원인으로 대장용종이란 일반적으로 점막에서 기원하여 돌출된 병변을 말한다.
대장용종이 진행하여 대장암이 되기까지는 약 5-10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렇게 암이 되기 전 용종 단계에서 검진을 통해 발견한 대장 용종을 제거하는 것은 대장암에 대한 최선의 예방법이 된다.
그 중에서도 선종성 용종을 주목해야 한다. 선종성 용종은 양성인 증식성 용종과 달리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존재다. 선종성 용종은 발생 초기에 대장 안쪽 점막부터 시작하여 여러 겹의 층을 이루며 점차 증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방치하면 림프, 혈액을 통해 간, 폐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장내시경 검사는 대장암의 발견 뿐 아니라 대장용종을 조기 발견하고 동시에 제거도 할 수 있는 검사다. 따라서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대장 용종을 미리 발견해서 제거하는 것은 가장 확실한 대장암 예방법이 될 수 있다.
대장용종절제술을 받았다면 용종의 추적검사 또한 장기적인 대장암 예방측면에서 중요하다. 대장용종을 한번 제거하더라도 다시 용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담 후 추적 대장내시경 검사를 재차 실시하며 모니터링 해야 한다. <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도움말: 수지베스트내과의원 윤해리 원장(내과 전문의)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