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청약가점에 밀린 30대, 서울 아파트 매입 '최다'

이미선 기자

기사입력 2019-11-26 09:26


부양가족, 무주택 기간 등 청약가점에서 밀린 30대 젊은 층들이 서울 아파트를 대거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지난달 매입자 연령대별 서울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30대의 매입 비중이 31.2%로 전 연령대 중 1위를 차지했다. 이는 40대(28.7%)와 50대(19.0%)를 여유있게 따돌리는 수치다.

전통적으로 주택 매입 비중은 취학 자녀를 둔 40대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도 40대(29.3%)가 20대(24.3%)보다 5%포인트 이상 높았다.

그러나 서울의 아파트 거래가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한 올해 4월부터 7월까지는 40대의 매입 비중이 1위를 차지하다가, 8월부터 30대 매입 비중이 30.4%로 40대(29.1%)를 추월하기 시작했다. 또한 지난달 20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도 3.1%를 기록하며, 지난 5월(3.3%)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2030 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높아진 것은 최근 정부의 청약제도 개편으로 청약가점 대상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규제로 '로또 아파트'가 증가하면서 서울지역 청약경쟁률이 급증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올해 7월부터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도입 계획이 공론화되자 청약가점에서 불리한 30대들이 상한제 아파트는 당첨이 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기존주택 매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청약가점은 무주택기간(32점), 부양가족수(35점), 청약통장 가입기간(17점)으로 점수가 산정되는데, 무주택 기간이나 부양가족이 적은 30대 부부는 상대적으로 당첨이 어려울 것이라 판단한 것이다


이미윤 KB부동산 리브온 차장은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시세차익이 커짐에 따라 앞으로 청약가점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대적으로 가점에서 불리한 30대들의 기존주택 매입 비중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