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에는 건강 관리에 각별히 주위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환절기에 낮과 밤사이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데, 이로 인해 신체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흔히 알고 있는 축농증과 같은 코질환이 쉽게 발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비동염은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급성 부비동염은 대개 감기의 후기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만성 부비동염은 급성 부비동염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거나 급성 염증이 반복될 경우에 생긴다.
신림역 연세쿄앤원이비인후과 임준식 원장은 "흔히 알고 있는 축농증의 주된 원인은 코감기나 알레르기성 비염, 비중격만곡증, 코의 물혹 등을 조기에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한 경우 부비동과 연결된 통로로 지속적으로 막히면서 분비물 배출이나 환기 기능에 심각한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주된 증상으로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콧물이 코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후비루증 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코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도 중요하다. 만성 재발성 축농증의 경우 비강 세척을 하는 것이 축농증 개선과 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 개선에 도움이 되는 프로바이오틱스 정제 유산균과 비타민D를 꾸준히 챙겨주는 것도 방법이다.
더불어 비염에 대한 치료 관리뿐만 아니라 축농증의 또 다른 원인인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일교차와 미세먼지가 농도가 심한 시기에는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호흡기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얼음, 아이스크림 등의 찬 음식은 삼가는 것이 좋겠다. <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