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은 화장실에서 평균 9.4칸의 화장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한킴벌리는 크리넥스 사용자 9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한 결과, 사람들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쓰는 화장지 칸수가 2009년 평균 12.7칸, 2013년 11.8칸, 2017년 9.4칸으로 점점 줄어드는 추이를 보였다고 19일 밝혔다. 10년 사이에 평균 3.3칸 줄어든 것이다.
화장실에 비치되는 휴지통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 따르면 가정 화장실에서 휴지통 비치 비율은 2009년 68%에서 2017년 59%로 9%포인트 낮아졌다.
화장실에서 화장지를 사용하는 방식을 묻는 말에는 응답자 34%가 '필요한 만큼 끊어 접어서 사용한다'고 답했다.
'필요한 양만큼 손에 감은 후 끊어서 사용한다'와 '필요한 만큼 접어서 푼 후 끊어서 사용한다'는 비율도 각각 32%, 30%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필요한 만큼 끊어서 뭉쳐서 사용한다'는 답변도 5%였다.
한편 화장실에서 화장지를 거는 방식도 응답자 간 달랐다. 화장지가 벽면에서 떨어져 바깥쪽으로 풀려나가게 거는 '앞걸이파'가 65%, 반대로 벽면에 붙여 안쪽으로 풀리게 거는 '뒷걸이파'가 33%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화장지를 바깥쪽으로 거는 이유로는 '벽에 닿지 않아야 한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안으로 거는 응답자들은 '화장지는 변기의 물기와 멀리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